문재인 대통령 “남북미 3자회담 통한 종전선언 기대”

입력 2018-05-27 11:25 수정 2018-05-27 11:26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종전선언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27일 오전 10시 청와대 춘추관에서 2차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남북미 3자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남북 간 핫라인 통화가 개설됐다. 앞으로 북미 간에도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삼국 간 핫라인 통화를 개설할 정도까지 가려면 남북미 정상회담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할 경우 남북미 삼자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 선언이 추진됐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깜짝’ 정상회담을 가졌다. 4·27 정상회담 이후 한 달 만이다. 이번 회담은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2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김 위원장의 요청으로 성사됐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남북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회담에서 김 위원장과 필요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격식 없이 만나기로 약속했다”면서 “김 위원장이 그제(25일) 오후 일체의 형식 없이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했고 저는 흔쾌히 수락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판문점 선언에 이어 다시 한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통해 평화와 번영을 위해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에게 지난 22일 있었던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알렸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결단하고 실천할 경우 북한과의 적대관계 종식과 경제협력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있다는 점을 전달했다”며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오해를 불식시키고 실무협상을 통해 정상회담 의제에 대한 충분한 사전 대화가 필요한 점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도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를 위해 남북 고위급 회담을 다음 달 1일 개최하고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군사당국자 회담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회담을 연이어 갖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앞으로 필요한 경우 남북이 언제든지 서로 통신하거나 만나 격의 없이 소통하기로 했다”고도 밝혔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