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재개 가능성을 시사하자 야권이 문재인정부 역할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정태옥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26일 논평에서 “문재인정부의 어설픈 중재자 노력이 실패했지만 대한민국 패싱이 있어서는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한반도 평화와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서 대화를 재개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면서도 “다시 정상회담이 열리더라도 충분한 사전실무회담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서두를 필요도 없다”고 했다.
그는 “북핵폐기와 관련해 어떠한 경우도 미국과 북한, 미국과 중국에 의해서 거래가 성사되어서는 안 된다”며 “현재 상황에서 북·미 정상회담의 재개가 중요한 것은 맞지만, 대한민국 입장과 의지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성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 위한 운전자는커녕 그 뒷좌석에도 우리의 자리는 없는 것 아닌가”라고 우려했다.
권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은 두 정상의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으나 양측의 잇따르는 돌발적 선언과 입장 변경에 대한 진위확인도 되지 않는 뒤통수 외교를 계속하고 있다”며 “문제는 북미 양측에 휘둘리며 진위확인도 되지 않는 사이에 배제될 수 있는 대한민국의 국익과 안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 늦기 전에 판문점 선언 전 상태의 원점으로 돌아가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한 국제사회의 공조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안보를 확보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밤(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정상회담 (개최 논의) 재개에 관해 북한과 매우 생산적인 대화를 하고 있다”며 “필요하다면 그 날짜를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남겼다.
이날 낮에도 그는 “북미 정상회담을 북한과 논의하고 있다”며 “다음달 12일 열릴 수도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