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성격에 대해 “짜인 각본이 전혀 없다”며 “두 정상 차원에서의 솔직한 의견 교환이 주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1박4일간 미국 공식실무방문을 수행하고 있는 정 실장은 21일(현지시간) 워싱턴행 기내간담회에서 “대개 정상회담은 사전에 많은 조율이 있고 합의문도 어느 정도 99.9%까지 사전 조율이 끝나는 게 관행이지만 이번 정상회담은 그런 게 일체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정 실장의 이런 발언은 문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의 성사와 성공을 위한 정상 간 ‘굳건한 신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리비아식 비핵화(선 핵폐기, 후 보상)’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 북한의 의중을 미국에 이해시키는 동시에 한미 공조를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세부 로드맵을 조율하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해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두 정상이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6월 12일로 예정됐던 북미정상회담을 다시 본 궤도에 올리는 일이 시급하다는 게 청와대의 인식이다.
정 실장은 “정상회담 진행 방식도 과거 정상회담과 달리 두 정상 간 만남 위주로 하기로 했다”며 “수행원들이 배석하는 오찬 모임이 있긴 하지만 두 정상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솔직한 의견 교환을 갖는 식의 모임을 하자고 한미 간에 양해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두 정상이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성사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로드맵 도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위해 속 깊은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했다. 정 실장은 “수행하는 저희들도 두 분이 무슨 말씀을 어떻게 할지 예측을 전혀 못하는 상황이다. 그게 이번 정상회담의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한 것 같다”며 “두 정상이 목표지점까지 어떻게 갈 수 있느냐에 대한 여러 아이디어를 공유할 것으로 기대하고 간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