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판문점에서 열릴 예정이던 남북고위급회담이 개최 당일 북한의 일방적 통보로 무기한 연기됐다. 우리 정부는 당혹감을 드러냈다.
북한은 이날 새벽 0시30분쯤 고위급회담 북측 대표단 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을 보냈다. 한미 공군의 연례적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를 문제 삼으며 회담을 '무기 연기'한다는 내용이었다.
북한은 15일 오전 9시를 넘긴 시각에 '고위급회담을 16일에 개최하자'고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우리 측에 제안했었다. 이로 부터 15시간여만에 일방적 중지를 통보한 것이다. 이날 오전 10시로 예정된 고위급회담 시작 시각을 채 10시간도 남겨놓지 않은 시점이었다.
북한은 16일 새벽 3시쯤 송고한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고위급회담 중지'를 공식화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회담 일정 협의 과정에서 연합훈련을 문제 삼는 분위기는 전혀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특히 '맥스선더' 훈련은 11일 시작됐기 때문에 그 이후인 15일에 회담을 제안해놓고 이제와 '중지'하자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도 적지 않다.
통지문이 전해진 후 고위급회담 우리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장관을 비롯한 간부들은 뜬 눈으로 밤을 지새웠다고 알려졌다. 머리를 맞대고 향후 대책 등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통일부와 국가정보원 등 유관부처를 중심으로 북한이 갑자기 회담 중지를 밝힌 배경을 분석하며 입장을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남북관계는 물론 내달 12일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