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의장 ‘특단의 대책’ 발언에 한국당, “더 극단적인 투쟁 할 수밖에 없어”

입력 2018-05-10 11:06
정세균 국회의장이 10일 오전 국회 본청 앞에서 '드루킹 특검' 등을 요구하며 단식투쟁 중인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 방문을 마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세균 국회의장이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현역의원들의 사직서를 처리하기 위해 직권상정으로 ‘원포인트 국회’를 소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자유한국당은 “이런 상황이 오면 야당으로서 국회 정상화와 특검 관철을 위해 더 극단적인 투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윤재옥 한국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농성장 앞에서 “(정 의장이) 직권상정을 해선 안 된다”며 “국회 전체가 정상화되지 않고 있는데 의장이 이 상황을 타결하려는 입장을 갖고 국회를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의장이 직권으로 국회를 소집할 시 파행을 더 심각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고도 말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또 이번 여야 협상 결렬과 관련해 “(여당이) 원내대표 교체라는 명분으로 협상을 회피하고 소극적으로 협상에 임했다”며 “협상 결렬의 책임을 야당에 전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태”라고 여당을 비판했다.

정 의장은 이날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4개 지역(충남 천안병, 인천 남동갑, 경남 김해을, 경북 김천)의 의원 사직서의 경우에는 5월 14일까지 처리되지 않으면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의 공백 상태가 내년 4월까지 지속돼 지역민들의 참정권이 침해될 수 있다”며 의장으로서 ‘특단의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밝혔다. 국회 앞에서 단식농성을 하고 있는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를 방문한 이후에도 “대한민국의 모든 지역에는 그 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 있어야 하는데, 정당이 기본적 민주주의 요소를 방해하는 것은 반민주적”이라 지적한 바 있다.








우승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