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회 정상화까지 세비 안받겠다”…극적 타결 가능성은?

입력 2018-05-08 16:05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동에서 (좌측부터)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 정세균 국회의장,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심각한 표정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세균 국회의장은 8일 국회 정상화 문제와 관련해 “만약 여야 협상이 타결 안 되면 저부터 4월 세비를 반납하고 앞으로 국회 정상화 때까지 세비를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국회가 4월부터 본회의를 한 차례도 열지 못하고 공전 상태를 거듭하고 있는 데 대해 국회의장으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다.

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와의 정례회동에서 “오늘은 5월 국회가 아니라 20대 국회 전반기를 정상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한다”며 “만약 여야 교섭이 성공하지 못해서 지금부터 장기간 의회가 없는 상태가 지속하면 여기에 대한 책임을 저부터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저뿐만 아니라 우리 의원들에게 동참을 호소하고, 그런 운동을 펼쳐나가서 국회가 정상화될 수 있는 작은 노력이라도 기울이겠다”며 “각 당 원내지도부는 당의 이해관계가 아닌 국민의 눈높이에서 보고 의사결정을 해줄 때가 됐다”고 말했다. 또 “무슨 일이 있어도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의원들의 사직서 처리는 기간(14일) 내에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동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이 부탁의 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야당의 조건 없는 드루킹 특검 도입 주장에 대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 등 조건부 수용으로 맞서면서 국회 파행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자유한국당은 “설령 이번에 특검을 못 하고 결렬이 되더라도 우리당은 문재인 정부 5년 내내 이 특검을 절대 포기 못 한다고”고 밝혔다.

그러나 싸늘한 여론 탓인지 여야는 모두 “협상이 결렬된 것은 아니다”라면서 협상의 끈을 놓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원내 지도부가 오후에 회동을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