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의 ‘주한미군 철수’ 발언 논란과 관련 당청은 선긋기를 시도하며 진화에 나섰다. 야권은 문 특보를 파면하라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문 특보는 지난 30일(현지시간)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즈’에 기고한 글에서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뒤에는 주한미군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문 특보의 발언이 알려지자 청와대는 즉시 진화에 나섰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2일 오전 문 특보에 직접 전화를 걸어 “주한미군 주둔은 한미동맹의 문제이며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문재인 대통령 입장을 전달했다. 이어 “대통령과 혼선이 빚어지지 않게 해 달라”고 당부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청와대와 호흡을 맞추며 논란 차단을 시도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 일관된 입장은 주한미군을 평화 집행으로 계속 주둔한다는 것”이라며 “평화협정 때도 주한미군의 국내 주둔이 필요하다는 확고한 입장을 밝히면서 (이를) 현혹하는 기사엔 국민도 냉철히 판단할거라 생각한다”고 문 특보 발언에 선을 그었다.
반면 야권은 문 특보 논란에 화력을 집중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핵없는 한반도 실현이라는 판문점 선언이 결국 주한미군 철수와 한반도 핵우산 철폐였던 것인지 문재인 대통령이 국민들 앞에 분명히 대답해 주길 바란다”고 비판했다. 장제원 한국당 수석대변인도 논평에서 “주한미군 철수가 청와대의 입장이 아니라면 문 특보를 즉각 파면하라”고 촉구했다.
바른미래당도 문 특보 해임을 촉구했다. 박주선 공동대표는 “북한도 주장하지 않는 주한미군 철수를 대통령 특보가 말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도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그가 문 대통령의 뜻을 미리 밝힌 것이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민주평화당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최경환 평화당 대변인은 “남북정상회담 의제도 아니고 북미정상 회담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 대통령 특보가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킨 것은 잘못”이라며 “매우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정의당 추혜선 수석대변인은 “의도적으로 대통령 특보의 개인 발언을 키울 시기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
☞
☞
☞
☞
☞
☞
☞
전형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