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1일 더불어민주당 당원 댓글조작 사건(드루킹 사건)과 관련한 특별검사제를 받아들이겠다고 SBS가 보도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특검법은 청와대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해당 보도를 부인했다.
SBS에 따르면 청와대의 고위관계자가 최근 여당 지도부에 “특검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드루킹 논란과 연루된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특검의사를 밝힌 만큼 빨리 (특검을)수용하는게 낫다는 입장이다.
김경수 의원은 19일 열린 6·13 지방선거 경남지사 출마 기자회견장에서 “필요하다면 특검을 포함한 어떤 조사에도 응하겠다. 특검에 대해서는 당에서 결정한 대로 따르겠다”고 의견을 밝힌 바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SBS에게 “오히려 청와대는 (특검 수용에)적극적이다. 여당에서 빨리 합의해 특검하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1일 “특검법을 만드는 주체는 국회”라고 청와대의 입장을 전하면서 청와대가 드루킹 사건에 대한 특검 수용 의사를 밝혔다는 언론보도를 부인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는 ‘특검 불가’를 고수하고 있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드루킹 특검 도입을 논하기에 앞서 일단 경찰의 수사를 지켜보는 게 우선이며, 특검은 경찰의 수사결과에 의혹이 남는다면 그때 가서 논의해볼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특검 수용 불가를 고수하는 더불어민주당과 달리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야 3당은 특검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더 이상 증거인멸 하기 전에 특검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바른미래당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 또한 문재인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에게 특검을 수용하라고 명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동운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