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대, 경찰·군·소방서와 손잡고 ‘드론’으로 공공시설물 안전관리

입력 2018-03-15 16:32 수정 2018-03-15 21:25

대학이 경찰과 군, 소방서 등 공공기관과 손잡고 드론을 활용한 공공시설물 안전관리에 나섰다.

신라대(총장 박태학)는 부산사상경찰서(서장 신영대), 육군 제 6339부대(연대장 김성진), 부산북부소방서(서장 김한효) 등 4개 기관과 15일 공익목적 무인항공기(드론) 활용관련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대학 본부 건물에서의 업무 협약식에 이어 드론 인프라가 갖춰진 신라대 ‘IoT 실증 센터’로 이동해 드론장비 시연과 인명구조 모의훈련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번 협약은 신라대 내에 산업부와 부산시의 지원으로 구축된 드론 인프라를 활용해 부산지역의 공공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공익사업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협약으로 4개 기관은 앞으로 상호 공조 하에 드론을 활용해 실종자 수색과 인명구조, 수색 정찰, 해안감시, 실시간 화재현장 지휘지원, 교통 및 도시안전관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게 된다.

신라대는 세월호 사건 후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공공안전을 관리할 안전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지난 2014년 말 국내 최초로 공공안전정책 대학원을 설립해 이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며 노하우를 쌓았고, 산업부와 부산시 지원을 통해 캠퍼스 내 드론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번 협약은 신라대가 보유한 인프라를 활용해 4개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경우 지역 공공안전 관리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성사됐다.

이번 협약 기관 중 신라대를 제외한 3개 기관은 서부산권과 관련한 치안과 안보, 소방 등 공공안전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들이다.

서부산지역은 낙동강과 주변 습지, 백양산, 승학산 등 산악지역으로 이뤄져 있어 드론을 활용해 공공안전 관리에 나설 경우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라대는 산업부와 부산시의 지원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드론 인프라가 구축돼 있을 뿐만 아니라 서부산 중심권의 백양산 자락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서부산권 전지역을 대상으로 한 공공안전 관리를 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국토부 지정 드론교육기관인 신라대에는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광역시가 지역산업거점기관지원사업으로 구축한 ‘IoT 기반 해양도시관리 실증 클러스터센터’가 있다.

이 센터에는 205억여원의 사업비로 드론 통합관제소, 이동식 관제차량 등 특수목적형 드론장비, 드론 전자파 장비, 중앙관제소프트웨어, 해상시험장비 등의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산업부와 부산시의 지원으로 추진된 이 사업은 지난해부터 2020년 말까지 4년간 지속되며 앞으로 노동부 드론 비행제어컴퓨터(FCC) 프로그래밍·드론 유지보수 교육, 정부개발 원조사업인 ODA 사업을 통한 해외진출(인력양성, 공공영역 드론 서비스)등의 사업을 추가해 신라대가 국내 드론 거점 캠퍼스로 부상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게 된다.

신라대는 2016년 12월 공군으로부터 드론 운항허가를 받았으며, 지난 3월 국토교통부로 부터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음으로써 드론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인력양성 기반을 구축했다.

지난해 5월에는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드론공인시험장 지정을 받았다. 신라대는 그동안 지역발전위원회 주관 2017년도 권역별 행복생활권사업에 참여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부산시와 김해시, 양산시, 울주군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한 실종자수색, 건물에너지 관리, 미세먼지 측정, 해수욕장 실시간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에 참여하는 등 공공안전 분야의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해 왔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