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 실소유주 논란이 인 자동차부품회사 ‘다스(DAS)’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동형 다스 부사장을 전격 소환한다. 이 부사장은 이 전 대통령의 조카로, 다스 비자금 관련 수사에서 이 전 대통령의 친인척이 소환된 것은 처음이다. 첫 친인척 조사를 시작으로 검찰의 칼끝이 이 전 대통령에게까지 향할지 주목된다.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 사건 수사팀’(팀장 문찬석 서울동부지검 차장검사)은 24일 오전 10시까지 이 부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이 부사장은 다스의 불법자금 조성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앞서 다스 직원 조모씨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회삿돈 약 80억원을 빼돌린 뒤 협력업체(옛 세광공업) 직원인 이모씨에게 전달했다. 이씨는 본인과 친인척 등 17명의 명의로 43개의 계좌에 120억4300만원을 차명 보유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이 부사장이 비자금의 실소유주와 자금의 성격, 사용처 등에 대해 알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부사장이 비자금 조성 당시 결재라인은 아니었지만 핵심 경영진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파악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부사장은 이 전 대통령의 조카이자 다스 최대주주인 이상은 회장의 아들로, 다스 총괄부사장까지 맡다가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다스에 들어온 뒤 부사장으로 강등됐다.
검찰은 이 부사장에게 비자금 조성 경위와 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소환에 앞서 이 부사장을 피의자로 특정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관련 정황이나 물증을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로 이 부사장은 다스로부터 비자금으로 의심되는 불법자금을 넘겨받은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17일 이 부사장이 대표이사를 맡았던 다스 협력업체 IM을 압수수색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적폐청산위원장을 맡은 박범계 의원은 “2008년 설립된 IM의 회장은 이상은 회장이고 실질적 사주는 이 회장의 아들 동형씨”라며 “이 회장이 이 회사 계좌로 2009∼2010년 네 차례에 걸쳐 9억원을 입금했고, 이 과정에서 증여세 포탈 의혹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스 직원의 출퇴근용 버스를 운행·관리하는 운영업체 대표가 2009년부터 36개월간 매달 230만원씩, 총 7200만원을 이 부사장에게 입금했다고도 했다.
박 의원은 또 다스로 흘러 들어간 리베이트가 이 전 대통령 측에 전달됐으며, 이 회장이 ‘월급 사장’이라고도 주장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이 부사장은 고철업체를 운영하는 사촌형 김모씨에게 리베이트 명목으로 6억3000만원을 받은 뒤 일방적으로 거래를 중단했다. 그러자 김씨는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고 이 부사장은 이 전 대통령 측으로 갔다며 거절했다. 이 부사장은 다스 전 직원에게 “나도 갈 데가 없고 아버지도 여기서 월급 받고 있지”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이 부사장이 다스의 실소유주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핵심 인물로 지목되기도 한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