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컴한 뇌 속을 훤히 들여다 보며 뇌동맥류 등뇌혈관기형을 제거할 수 있는 신의료기술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대학교병원 의료기기혁신센터는 신경외과 조원상(사진 왼쪽) 교수와 비뇨기과 오승준 교수(의료기기혁신센터장) 연구팀이 최근 병원 출자회사 ‘인더스마트’ 연구진과 공동으로 ‘뇌 내시경용 특수형광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끊어진 뇌혈관을 잇는 수술에서 보다 정밀한 처치가 가능해져 추후 재발이나 합병증 발생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뇌혈관질환은 심혈관질환과 더불어 암 다음으로 국내 사망률 2~3위를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뇌동맥류’가 있는데, 파열성인 경우 사망 및 장애 발생률이 65%에 이르는 중병이다. 전조증상이 거의 없어 건강검진을 통해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뇌동맥류 결찰수술은, 열쇠구멍 크기의 개두술을 실시하는 '키홀접근법'이 주로 이뤄진다. 최소한의 부위만 노출시키기 때문에 출혈이 적어 수술시간이 절반 이상 단축되고, 미용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좁은 공간에서 수술하기 때문에 숙련된 의료진과 이를 보완해줄 장치들이 필요하다. 먼저 ‘내시경’은 수술현미경으로 확인이 어려운 구조물을 볼 수 있게 빛과 시야를 확보 해준다. 연구팀이 개발한 ‘형광시스템’은 혈액에 주입한 형광물질을 특수 필터를 통해 이를 잘 관찰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특히 혈관결찰술 이후에 혈액이 제대로 순환 하는지 쉽게 확인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기존 내시경으로는 혈관의 겉모습만 볼 수 있는데 그치지만 새 형광내시경을 이용하면 중요 미세혈관 상태를 관찰하거나 혈관 내부의 혈액 흐름까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뿐만이 아니다. 내시경 화면과 형광필터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일반 내시경 카메라와 크기도 비슷하면서 형광 기능이 추가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으로 호평과 함께 지난해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를 수상하기도 했다.
연구결과는 신경외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월드 뉴로서저리(world neuro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