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다스 실소유주’ 논란에 반박하고 나섰다. 김 전 수석은 16일 MBC 라디오 ‘양지열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가 사실상 이 전 대통령 소유라는 주장을 언급하며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를 현대건설이 지었다고 현대건설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이 전 대통령은 다스 주식을 단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라는 주장은) 우리 경제 전체를 완벽하게 부인하는 우스꽝스러운 주장”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의 친형과 처남 소유로 돼 있는데 대를 물려가면서 이 전 대통령의 것이라고 하려면 증서가 있어야 한다. 이러저러한 일을 가지고 끊임없이 덧씌우기를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전 수석은 또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이 특수활동비를 당시 청와대에 상납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확정되지 않은 혐의를 의도적으로 흘리고 있다"며 반발했다. 그는 "(돈을 줬다는) 국정원장과 (받았다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은 그런 적이 없다는데, 중간에 있는 사람들(국정원 기조실장, 돈을 전달했다는 사람 등)이 줬다고 하는 상호 주장 차이가 있는 상태"라며 이렇게 말했다.
검찰은 지난 14일 국정원 특활비를 상납받은 혐의로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과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 전 기획관은 이명박 정부 시절 김성호·원세훈 전 국정원장으로부터 각각 2억원씩 모두 4억원을, 김 전 비서관은 국정원장으로부터 5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문제를 놓고 이명박정부 시절 청와대 인사 20여명은 이 전 대통령 사무실에 모여 3~4시간 회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수석은 "혹여 그때 특활비가 (청와대로) 왔다면, 누군가는 받아썼을 것 아니겠느냐. 근데 전혀 그런 분위기도 아니었고, 그 문제와 관련된 분위기는 (검찰의 주장과는) 정반대였다"고 전했다.
최근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특사 파견으로 불거진 '아랍에미리트(UAE) 논란'과 관련해서도 "UAE에 대해서 가장 할 말이 많은 사람은 원전 유치 초기부터 모든 노력을 다해온 이 전 대통령 본인일 것"이라며 "지금 이를 악물고 많이 참고 있다"고 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