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소음성 난청 ‘증가’, 높은 보청기 가격이 증상 방치 불러

입력 2018-01-10 17:50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은 85%였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써, 우리나라가 IT 선진국다운 면모를 드러내는 지표로 여길 수 있다.

하지만 양지가 있으면 음지도 있는 법이다. 주변을 조금만 돌아보면 스마트폰에 이어폰을 꽂은 채 음악이나 동영상, 영화 등을 즐기고 있는 이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로 인한 안전사고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졌던 난청의 발생률이 젊은 층에서도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수치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소음성 난청으로 내원하는 10~29세 환자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015년에 양쪽 청력이 손실된 10~29세 소음성 난청 환자수는 4173명이었으나 2016년 4326명으로 증가했다. 한쪽 청력은 정상이고 반대쪽 청력만 손실된 경우는 2015년 2316명에서 2016년 2357명으로 늘어났다.

소음성 난청의 경우 지속적인 소음 노출로 청력이 서서히 나빠지므로 초기에 알아차리기 힘들다. 초기 증상으로는 남성목소리보다 여성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고, 평소 텔레비전 시청 시 남들보다 음량을 크게 해야 잘 들린다거나, 대화할 때 상대방이 하는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자꾸 되묻는 것 등이 있다.

만약 난청 증상이 계속 심해진다면, 시력이 나빠지면 안경을 착용하듯 보청기 착용을 통해 청력의 손실을 잡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괜찮겠지’ 하는 생각으로 보청기 착용을 계속해서 미루게 되면, 결국 달팽이관 내의 모세포 노화를 막을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게 되어 뒤늦게 보청기를 착용하더라도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다반사다.

하지만 난청을 겪고 있어 보청기 착용을 생각해보더라도, 보청기 가격 때문에 구입을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경제활동을 아직 시작하지 않았거나 사회 초년생인 10~20대, 넓게는 30대의 젊은 층의 경우, 계속적인 보청기 가격비교에도 난색을 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현재 많은 보청기 회사들은 연초를 맞아 갖가지 할인 프로모션을 선보이며 난청인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 보청기 회사인 딜라이트 보청기도 그 중 하나다.

딜라이트 보청기는 현재 ‘대한민국 중소중견기업혁신대상’ 기술혁신부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수상을 기념하는 특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 중에 있다. ‘창립 최초 전제품 파격 할인’이라는 슬로건 하에 회사 주력 제품인 ‘청음’과 ‘혜음’을 채널에 따라 72만원~175만원에 제공 중이다.

딜라이트 보청기는 관계자는 “이번 고객 감사 프로모션의 경우, 같은 성능 대비 타사보다 70%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난청인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며 “‘경제적인 이유로 듣지 못하는 사람이 없는 세상’의 기업이념을 바탕으로 소음성 또는 노인성 난청을 겪고 있는 모든 분들이 행복해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난청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환임에도 그 증상과 정확한 대처방법에 제대로 아는 분들이 많지 않다”며 ”평소 난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청각관리, 그리고 보청기 선택 기준에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