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통신선 개통은 ‘김정은의 결심’…복원 시점 놓고 남북 마찰도

입력 2018-01-10 00:46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9일 남북 고위급 회담 종료회의를 마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북한은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우리 측에 서해 군 통신선을 재개통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최고 수뇌부(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결심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해 군 통신선이 복원된 것은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 때 판문점 연락관 채널과 함께 끊긴 지 1년11개월 만이다. 북측은 서해 군 통신선을 지난 3일 개통했는데 우리 측이 뒤늦게 이 사실을 공개했다고 역정을 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회담에서 서해 군 통신선을 복원했다고 우리 측에 설명했다”면서 “이에 우리 측은 서해 군 통신 선로를 확인한 결과 오후 2시 연결을 확인했다. 현재 남북 군 당국 간 서해 군 통신선을 통한 통화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우리 측은 이에 따라 10일 오전 8시부터 군 통신 관련 유선 통신을 정상 가동키로 했다”고 부연했다.

북한은 2016년 2월 우리 측이 개성공단 가동 중단 결정을 내리자 이에 반발하며 서해 군 통신선과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끊었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 남북 간에는 어떤 통신 채널 없이 공동경비구역(JSA)에서 육성이나 확성기로 의사소통을 해왔다. 북한은 2016년 5월 우리 측에 군사당국 회담을 제안하면서 군 통신선을 잠깐 개방했다가 우리 측이 응하지 않자 다시 끊어버렸다.

군 통신선 재개통에 따라 남북은 사소한 군사적 충돌이 전면전으로 번지는 일을 막기 위한 안전핀 하나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문재인정부는 지난해 7월 군사적 긴장 해소를 위한 남북 군사당국 회담을 제안하면서 서해 군 통신선을 복원하라고 요구했지만 북한은 이를 최근까지 묵살하다 6개월 만에 호응했다.

북한이 서해 군 통신선을 조건 없이 연 것은 군사적 긴장 완화에 공감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할 북한 대표단의 육로 방남을 염두에 둔 움직임일 수도 있다. 남북 육로 개통을 위해서는 군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서해 군 통신선 복원을 둘러싸고 회담 중 남북 간에 마찰도 있었다. 북측 수석대표인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서해 군 통신선 개통은 지난 3일에 했는데 남측이 9일에 공개했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반면 우리 측은 서해 군 통신선 개통 사실을 이날 북측의 발언을 통해 알았다는 입장이다. 이 위원장은 지난 3일 조선중앙TV에서 입장을 발표하며 “북남 사이에 판문점 연락통로를 개통할 데 대한 지시를 (김 위원장이) 주셨다”고만 밝혔다. 당시에는 서해 군 통신선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측은 지난 3일 서해 군 통신선을 개통했다고 했으나 그간 기술적 문제로 인해 확인을 못하던 상태였다”면서 “북측 발언을 듣고 확인을 해보니 통화가 가능해서 10일부터 가동키로 한 것이다. 기술적 문제로 인한 오해로 본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가며 우리 측 기자들에게 “(군 통신선 재개통은) 우리 최고 수뇌부의 결심에 따라 그날(3일)에 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성은 기자, 판문점=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