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북한 공작원 출신들에게 이번 북한의 난수방송 재개에 대해 물어보니 북한의 신규 남파공작원을 파견했고 이 공작원들을 대상으로 난수방송을 재개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답변하는군요"라고 했다.
하 의원은 "지금까지 써오던 인터넷을 통한 스테가노그라피 기술은 국정원에 많이 알려졌고 해킹에도 취약점이 있다고 합니다"라고 했다.
하 의원은 "그에 반해 숫자방식은 암호 해독방법을 알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라며 "공작원 개개인별로 해독방법을 다르게 할 수가 있구요"라고 했다.
하 의원은 "그래서 북한은 한국 현지인 간첩의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한 지령 수신 방법을 쓰되 직파 공작원의 경우는 점차적으로 난수방송을 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 같다는 진단입니다"라고 했다.
그는 "공작원은 없고 북한의 심리전에 불과하다고 정부가 판단하는 것은 굉장히 안이한 생각입니다"라며 "안보 문제를 이렇게 안이하게 접근하니 사드같은 국가의 명운이 달린 문제도 불철저하게 관리하는 겁니다"라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