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신동빈(61) 회장 개인명의로 개설된 금융계좌 일체를 추적하고 나섰다. 신 회장의 가신(家臣)으로 불리는 이인원(69) 그룹 정책본부장(부회장), 황각규(61)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을 비롯해 핵심계열사 전·현직 대표 8명의 개인계좌도 추적 대상에 포함됐다. 검찰이 발부받은 계좌추적 영장에는 신 회장 등 대상자 전원이 피의자로 적시됐다.
지난달 10일 전방위 압수수색 이후 한 달 가량 계열사 간의 수상한 자산거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집중됐던 수사가 롯데그룹 수뇌부의 개별 계좌를 분석하는 단계까지 진전된 것이다. 그룹 정책본부 주도로 조성된 막대한 비자금이 핵심 경영진을 거쳐 총수 일가로 연결되는 고리를 찾으려는 작업으로도 해석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검사 조재빈)는 최근 신 회장 등 9명의 개인명의 계좌에 대한 추적 작업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시중은행·증권사 등에 이들의 계좌 일체와 거래 상대방 계좌정보, 고객정보조회서(CIF), 대여금고·보호예수 현황 등 ‘추출 가능한 모든 정보’를 원본 그대로 제공해 달라고 요구했다. 신 회장과 이 부회장, 황 사장 외에 이원준(60) 롯데쇼핑 대표, 이철우(73)·신헌(62) 롯데쇼핑 전 대표, 강현구(56) 롯데홈쇼핑 대표, 최종원(59) 대홍기획 전 대표, 신영자(74·구속)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이 대상이다.
검찰은 롯데쇼핑과 대홍기획 법인계좌의 거래내역도 쫓고 있다. 롯데쇼핑 대표이사에는 신 회장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 롯데쇼핑은 계열사를 동원한 조직적 비자금 조성과정에서 ‘핵심 고리’로 지목되고 있다. 검찰은 롯데홈쇼핑의 방송사업권 인·허가 로비 의혹에 연루돼 이미 두 차례 소환 조사를 받은 강현구 대표의 경우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 중이다.
검찰은 신 회장이 핵심 피의자임을 명확히 했다. 계좌추적 영장을 받기 위해 밝힌 신 회장의 범죄 사실은 ‘롯데그룹 회장으로서 롯데쇼핑 등 계열사들의 법인자금을 다양한 방법으로 횡령’ ‘계열사들의 법인세를 신고·납부하면서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를 통해 조세를 포탈’한 혐의 등이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14일 “구체적 수사 상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앞서 3500억원대 횡령·배임 혐의를 적용해 신격호(94) 총괄회장과 신 회장을 출국금지한 상태다.
노용택 정현수 기자 nyt@kmib.co.kr
[단독] 檢, ‘피의자’ 신동빈 개인 금융계좌 추적
입력 2016-07-14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