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의 급박했던 하루...지도부 총사퇴 안 두고 이견 노출

입력 2016-06-28 16:04

28일 국민의당의 하루는 급박했다.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검찰에 구속되자 안철수 공동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오전 6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했다. 7시 정책 워크숍이 끝나자마자 다시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고, 1시간이 넘게 진행된 의총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자 지도부는 재차 최고위와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을 조율했다.

국민의당 지도부는 첫 번째 긴급 최고위에서 ‘리베이트 의혹’에 연루된 이들에 대한 사퇴 요구·출당 조치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논의 초반 출당 조치에 무게가 실린 것으로 알려졌으나 “무죄추정의 원칙을 적용해야한다”는 등 지도부 사이 의견이 갈려 재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의총에서는 사퇴·출당 조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 다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지도부가 박 의원, 김 의원 등의 출당을 잠정 결론 냈다고 명시적으로 얘기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방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렇게 했으면 한다는 식으로 얘기했다”며 “이에 일부에서 출당 조치는 꼬리 자르기로 비춰질 수 있다는 등 우려를 했다”고 전했다. 한 초선 의원은 “법조인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 사건은 출당 조치까지 할 사안이 아니다’는 의견이 개진됐다”고 했다. 다른 의원은 “박 의원, 김 의원에게 사퇴 의사를 먼저 타진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고 두 사람에게 사퇴 의사를 물었더니 ‘주변과 상의해보겠다’는 식으로 답했다는 언급도 있었다”고 전했다.

결국 당 지도부는 의총 직후 재차 최고위를 열어 사건 관련자들을 당헌·당규에 따라 엄단한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기소 시 당원권을 정지한다’는 기존 입장과 같다. 관련자들에 대한 출당 조치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다수 의견을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정도 조치만으로는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여전하다. 한 야당 관계자는 “이런 결론을 낼 거면 왜 그렇게 부산스럽게 최고위와 의총을 열었는지 모를 노릇”이라며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제기될 경우 뭐라고 답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다른 당직자는 “의원들이 같은 당 의원들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강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편”이라며 “‘안철수계’ 인사들을 포함해 당내 의원들은 여전히 이 사건 자체를 가볍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지도부 일괄 사퇴’를 비롯한 고강도 대응 여부를 두고는 여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면 전환을 위해선 어떤 식으로든 지도부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아서다. 리베이트 의혹 사건 초반 대응이 미숙했던 것은 물론 총선 준비과정에서도 지도부가 철저하게 점검하지 않아 이번 사태가 벌어졌다는 당내 불만도 상당하다. 한 국민의당 의원은 “지도부가 스스로를 직을 던지는 식의 모습을 보여야 국면이 전환될 수 있다. 두 사람만 잘라내는 식으로는 상황이 봉합되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당장 이런 방안이 실행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당초 안 대표는 대표직 사퇴까지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으나 박지원 원내대표와 천정배 공동대표 등 다른 지도부는 부정적인 입장인 견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 의원은 국민일보 통화에서 “가능성이 거의 없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나온 얘기”라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