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화벌이 기관들 사이에 무역 허가 확보경쟁이 치열하다고 북한전문매체인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0일 보도했다.
외화벌이 기관들이 수입한 물품의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개인 돈주들의 장사행위를 견제하고 있다고 RFA는 전했다.
한 소식통은 “김정일 시대까지만 해도 양강도의 통나무 수출허가는 정찰총국 산하 ‘매봉회사’에만 주어졌다”며 “그런데 지금은 인민무력부 산하 ‘8총국 외화벌이회사’와 ‘삼백회사’도 통나무 수출권을 따냈다”고 RFA에 밝혔다.
양강도만 해도 향산지도국, 모란회사, 릉라무역, 칠성무역 등 중앙에서 운영하는 무역기관들이 30여개나 난립해 있다며 이밖에도 무역관리국, 수출원천동원사업소, 광업연합을 비롯해 도급(단위) 외화벌이기관들이 수십 개가 넘는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이들 무역기관들은 혜산시 대봉광산에서 나오는 중석과 금, 혜산청년광산의 아연, 구리정광 등은 물론 여러 광물들을 제련하고 남은 찌꺼기에 이르기까지 수출 품목으로 지정해 무역 허가를 받아내기 위해 첨예한 경쟁을 벌리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이 외에도 양강도의 주요 수출원천인 통나무와 고사리, 버섯과 같은 산나물 종류, 그리고 갖가지 자연산 약초들과 아연, 흑요석, 몰리브덴, 중석, 구리, 금을 포함한 광물들, 백두산부석(화산석), 석회석을 비롯한 토양까지 돈이 될 만한 것은 무엇이든 다 무역 와크로 지정해 수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양강도 주재 군수동원총국과 금은산총국, 대성지도국이 룡화광산에서 나오는 몰리브덴 광석의 독점 수출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렸지만 결국 김정은 통치자금 창구인 노동당 39호실 산하 대성지도국이 무역 허가를 따냈다고 소식통은 언급했다.
또다른 소식통은 “아무리 ‘돈주’라해도 국가 무역기관에 이름을 걸어 놓지 않으면 장사를 할 수 없다”며 “요즘 들어 개인 장사꾼들이 자동차나 열차를 이용해 장사물건을 운반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국가 무역기관들이 ‘돈주’들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중국으로부터 수입해 들인 물건들을 더 많이 팔기 위해 개인 장사꾼들의 장사행위를 규제하고 있으며 대규모로 물량을 옮기는 것도 단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때문에 ‘돈주’들도 할 수 없이 무역기관에 이름을 걸어놓고 장사를 한다”며 “무역기관에 소속된 ‘돈주’들은 회사 이름으로 돈벌이를 하는 대신 매달 중국인민폐 1만 위안 정도를 해당 기관에 바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