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문예성 기자 = 중국에서 2억5000만 위안(약 444억원)에 달하는 뇌물을 받아 비리규모로는 공식적인 '최고 기록'을 경신한 부패관료가 등장했다.
17일 중국 신징바오(新京報)는 전날 재판을 받은 바이언페이(白恩培) 전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주임의 뇌물 수수액이 2억4676만 위안으로 확인됐다면서,이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집권한 2012년 11월 제18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18차 당대회) 이후 비리로 낙마한 고위관료의 확인된 뇌물수수액 중 최고액이라고 전했다.
바이의 비리수수 규모는 주밍궈(朱明國) 전 광둥성 정협 주석의 1억4100만 위안,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의 1억3000만 위안(공식적인 수뢰액)보다도 훨씬 많다.
그는 2001년 11월 윈난(云南)성 서기에 임명돼 2011년 8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환경자원보호위원회 부주임으로 자리를 옮길 때까지 10년 동안 '윈난성 일인자' 자리를 지키면서 막대한 부정이익을 챙겼다.
둘째 부인인 장후이칭(張慧淸)도 부정축재에 동참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다가 그는 전인대 부주임으로 재직하던 2014년 8월 사정당국의 조사를 받으면서 낙마했다.
신장바오는 다만 바이의 비리수수액은 비공식으로는 최고액이 아니라는 사실을 시사했다.
작년 8월 뇌물수수로 처벌받은 궈보슝(郭伯雄)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과 2014년부터 조사받다가 작년에 방광암으로 숨진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의 수뢰액은 훨씬 클 것이 관측이 나왔다.
홍콩 일부 매체는 사정 당국이 쉬차이허우 소유 호화 저택을 수색해 1t에 이르는 보물과 외화 등을 발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아울러 비리로 낙마한 고위군 인사 중 구쥔산(谷俊山) 전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부장의 부정축적 재산도 300억 위안에 달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월드뉴스 보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