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간다 캄팔라 시내 호텔에서 25명의 동포 대표단을 접견했다.
박 대통령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이번 기회를 그냥 흐지부지 가게 되면 북한은 지금도 핵보유국이라고 하고 있는데 완전히 이제는 핵능력을 고도화시켜서 더 이상 어떻게 손쓸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를 내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더욱 국가적으로 북한에게 변화를 촉구함으로써 핵을 포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살 수 있는 길은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촉구에 귀를 기울이면서 진정한 변화의 길로 나오는 길 밖에 없는데 북한은 계속 국제사회의 노력을 외면하면서 오로지 핵무기 개발, 미사일 개발에만 집착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래서 지금 국제사회가 모처럼 단합이 돼서 한 목소리로 '북한이 그렇게 하면 안 된다', '핵을 포기해라'면서 핵개발에 쓰이는 달러를 차단하면서 변화를 촉구하는데 많은 나라들이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지금 (북한의) 민생이 너무너무 어렵다보니까 지난번에 중국에서 13명이, 가족도 아닌데 하나가 돼서 한꺼번에 탈북을 했다"고 했다.
이어 "또 여러 나라에 외화벌이로 가 있는 북한 근로자들이 자꾸 이탈을 해가면서 어려움을 도저히 더 견딜 수 없는 그런 상황을 우리가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이번에 어쨌든 그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통일 기반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해야 되겠다"며 "그렇게 되기 위해서 정부도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적인 면에서는 지속적으로 개혁을 해서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강화해서 다시 대한민국이 재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항상 개혁이라는 것은 쉽지 않지만 수술을 지금 하는 게 힘들다고 자꾸 미루다보면 그 환자가 어떻게 되겠냐"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반드시 우리 경제체질을 바꿔서, 그래야만 다시 우리나라가 도약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어렵지만 힘들게 그것을 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