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미수호조약 체결장소를 놓고 인천 동구청과 시민단체가 맞짱 행사를 강행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0일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와 인천시 참여예산위원회 문화관광체육분과 등에 따르면 그 동안 정확한 체결 장소를 두고 논란이 된 조미수호조약의 체결장소는 중구 자유공원 언덕의 ‘옛 인천해관세무사 관사터’로 최종 밝혀졌다.
이와 관련, 민운기 참여예산위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 동구청(장)은 아닌 것으로 확인된 화도진에서 축제의 일환으로 지난해 시작한 재현 행사를 중단하지 않고 올해에도 계속 강행키로 해 실망스럽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더구나 ‘최혜국대우권’ 삽입 등 조약 내용 자체의 불평등성 등 객관적 사실을 알리기보다는 단순 우호적 성격의 이벤트로 희화화시키고 있다”면서 “이에 역사바로알기 및 바로잡기 차원에서 ‘맞불’ 형태의 재현 행사를 마련해 조미수교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그 내용을 제대로 짚어보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인천 동구 화도진공원에서 체결된 것으로 잘못 알려진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 장소를 바로잡고, 그 역사적 양면성을 되새기는 ‘조미수호통상조약 역사바로알기 한마당’는 이날 오후 3시부터 1시간30분동안 인천 중구 북성동3가8의3 자유공원 아래 다비 웨빙 스튜디오 앞마당에서 펼쳐진다.
이 행사에서는 지창영 시인이 ‘조미수호통상조약과 한미관계 불평등성’에 대해 발언하는 등 시민사회단체의 입장이 발표된다.
반면 인천 동구청은 20~21일 오후 1시부터 10시까지 동인천역 북광장과 화도진 공원 등에서 연인원 6만여명이 참여하는 구민의 날 기념식 및 어영대장축성행렬 등을 추진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조미조약 134주년 짝퉁행사와 맞불행사 진풍경
입력 2016-05-20 10:20 수정 2016-05-20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