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24만4000원.’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이 작년 한 해 지출한 월 사교육비다.
교육부는 통계청과 공동으로 한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총 17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전체 금액은 4000억원(2.2%) 줄었으나 1인당 월 24만4000원꼴로 2014년(24만2000원)보다 2000원 늘었다. 1인당 명목 사교육비는 2013년(23만9000원) 이후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금액이 줄어든 것은 지난해 초·중·고 학생수가 전년보다 3.1%(19만7000명) 감소했기 때문이다. 조사는 지난해 전국 초·중·고 1244개교의 학부모 4만3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학교급별로는초등학교는 23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0.4% 줄었지만 중학교(27만5000원)는 1.9%, 고등학교(23만6000원)는 2.9% 늘었다.
1인당 사교육비 증가에는 예체능 과목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어와 영어 등 일반교과 사교육비는 19만원으로 전년보다 0.3%(1000원) 줄어든 반면 예체능 사교육비는 5만3000원으로 5.4%(3000원) 늘었다.
예체능 사교육비는 조사가 시작된 2007년(4만3000원) 이후 2012년을 제외하고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권도 등의 교육이 강조돼 체육 사교육비는 전년대비 13.6% 증가했다.
초등학교는 영어 사교육비가 7.3%(6000원) 줄어든 것이 눈에 띈다. 교육부는 2018년부터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했다.
방과후학교 비용 총액은 1조1600억원으로 전년보다 7.5% 줄고, 참여율도 57.2%로 2.1%포인트 떨어졌다. 공교육정상화법 시행으로 방과후학교에서 선행학습이 금지되면서 일반교과 수요가 방과후학교에서 사교육으로 옮겨 갔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전수민 기자
사교육비 월 24만4천원…3년 연속↑
입력 2016-02-26 09:18 수정 2016-02-26 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