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정부에 실질적인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24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비상대책위원회 총회를 개최하고 피해 추산액을 발표, 정부에 실질적인 보상을 요구했다.
협회가 지난 17일부터 약 일주일간 123개 기업 중 12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정자산과 미반입된 재고자산(유동자산)을 합한 총 피해액은 8152억원에 달했다. 유동자산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원·부자재 피해액 1052억, 재고품 569억, 완제품 843억이었다. 이번에 추산된 피해액에서는 무형자산인 영업손실이나 원청업체의 클레임으로 인한 손실은 빠져 있어 향후 피해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특히 개성공단에서 100% 생산하고 있는 49개사의 경우 영업손실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정자산 피해의 경우 남북경협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지만 기업당 한도가 70억으로 제한돼있기 때문에 전체 5688억원 규모인 고정자산 피해액 중 2630억원만 보상받게 된다. 이마저도 자본이 잠식된 상태거나 지난 2013년 개성공단에 돌아오면서 경협보험금을 미반납한 기업 46곳은 보험가입 대상이 안 돼 보전을 못 받는 상황이다.
협회는 이날 호소문을 통해 “현재까지 정부가 3차에 걸쳐 내놓은 지원대책은 그다지 실효적 대책도 될 수 없고 그나마 전혀 신속하지도 않다”며 “앞으로 비대위는 방향을 바꿔 매주 비상총회를 열면서 활발한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협회는 손실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 촉구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날 총회에서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근로자에 대한 문제도 지적됐다. 한 입주기업 공장장은 “근로자가 804명 정도가 상주하고 있었는데 이들에 대한 대책이 없고, 몇몇 기업은 사표를 종용하고 있다”며 “비대위 차원에서 근로자들과 함께 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비대위 차원에서 기업들에게 공문을 돌려 최대한 근로자들과 함께 가야한다고 독려하고 있다”며 “다음달 2일에 근로자협의회를 발족하고 기업들과 정식 소통창구를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개성공단기업들, "우리 피해액 최소 8000억여원, 정부지원 실질적 도움 안 되고 신속하지도 않아"
입력 2016-02-24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