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원유철 원내대표 연설직후 “그건 당론이 될 수 없고 개인 생각”이라고 말했다. 16일 예정된 야당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미뤄가면서까지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에 나와 안보위기에 맞선 국민단합을 외칠 예정인데, 주도적으로 문제를 풀어야할 여당 내 투톱은 제1의 이슈인 안보 문제에 각자 엇갈린 목소리를 내는 기이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방송으로 생중계된 국회 본회의장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북한의 공포와 파멸의 핵과 미사일에 맞서 우리도 자위권 차원 평화의 핵과 미사일로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여 생존전략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때마다 실현 가능성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터져나오는 핵무장론을 공식적으로 또다시 메인 무대에 의제로 만들려는 눈물겨운 노력이다. 여당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서 핵무장론이 공식적으로 제기된 것은 1992년 한반도 비핵화 선언 이후 처음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그러나 원 원내대표의 연설직후 “개인 생각일 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김 대표는 원 원내대표의 연설후 기자들이 몰려가 남한 핵무장론에 대한 새누리당의 당론 변경 여부를 묻자 “그건 당론이 될 수 없고, 개인 생각”이라고 짧게 말했다. 당론으로 논의를 한 바도 없다고 부인했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달 북한의 4차 핵실험 당시에도 다음날 남한 핵무장론을 설파한 원 원내대표, 김을동 최고위원 등을 향해 신중함을 주문한 바 있다. 원내대표는 당 대표의 지시 혹은 코치를 받아 야당과 협상에 나서는 역할을 주로 한다는 점에서 핵무장론을 둘러싼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입장 차는 매우 드문 일로 여겨진다.
새누리당이 평소 당론을 둘러싸고 활발한 토론이 빈번하던 곳은 아니라서 더더욱 그렇다. 지난해 4월 유승민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는 원유철 현 원내대표와 마찬가지 자리인 국회 본회의장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상식을 말했다가 원내대표직에서 쫓겨난 바 있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후임이 바로 원유철 현 원내대표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