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소비지출 중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가계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지난 2009년 정점을 찍은 이후 저출산·고령화와 유치원비 지원 등 제도적 영향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10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에 전국가구(2인 이상)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2.8%였다. 이는 통계청 가계동향의 소비지출을 구성하는 품목에 대한 새로운 분류가 적용된 2003년 이후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3분기 기준으로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2009년 15.5%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0년 15.1%, 2011년 14.4%, 2012년 13.4%, 2013년 13.3% 등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연간 기준으로도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2003년 11.0%에서 2009년 13.5%까지 계속 증가한 이후 2010년 13.0%, 2011년 12.3%, 2012년 11.7%, 2013년 11.4% 등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와 정부의 유치원비 지원 등 제도적 영향으로 가계의 소비지출 중에서 교육비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인구 구조 변화와 제도적 영향 외에 경기 요인도 교육비 지출 비중과 지출액 규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가계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 2009년 이후 최저치
입력 2014-12-10 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