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진 불도 다시 보자’ 라는 불조심 표어가 있다. 이를 건선치료에 비유해 보면 적절한 표어가 될수 있다.바로 “꺼진 건선도 다시 보자”라는 말이 될수 있을 것이다.
건선의 대표적인 특징은 만성화와 잦은 재발이다. 난치성 피부질환인 건선은 특정 부위를 가리지 않고 전신에 걸쳐 나타나며 붉은 반점과 각질을 보이는 피부질환이다.그리고 심할 경우 피부에 농포가 생기기도 한다.
◇건선, 면역 불균형으로 인한 피부 세포 이상
그렇다면 건선이 발병하는 이유는 뭘까. 고운결한의원 서초점 이종우 원장은 “한의학에서는 건선이 면역 불균형으로 인해 발병하는 질환이라고 본다. 면역체계가 교란되면 피부의 재생과 방어에 이상이 생기게 되고,이로인해 피부의 재생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면서 건선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이에 흐트러진 면역 체계를 바로 잡는 것이 건선 치료의 핵심”이라고 말했따.
따라서 건선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면역계 교란을 바로잡고 인체의 자생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이 원장은 “일반적으로 건선이 발병되면 환자들은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에만 주력하는데 증상이 없어진다고 해서 건선이 낫는 것이 아니다. 면역 불균형을 가져온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환자의 체질에 맞게 치료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맞춤 치료 받아야
고운결한의원에서는 환자의 체질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고유의 ‘쿼드-더블 진단’을 활용한다. 진단 결과에 따라 같은 질환이라 하더라도 환자마다 다른 치료법을 1대1로 적용하기에 빠른 개선 효과를 보인다.
이종우 원장은 “건선은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이다. 치료가 효과적으로 마무리됐다고 해도 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치료 전처럼 몸이 망가질 수 있는 습관을 되풀이한다면 건선은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으니 건강한 생활을 유지해야만 한다”고 당부했다.
건선 환자의 피부는 매우 건조하므로 생활 속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평소 피부보습에 각별히 신경 쓰고 피부에 불필요한 자극을 주지 않아야 한다. 또 불규칙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자극적인 식습관을 삼가는 것이 좋다.
이 원장은 “건선, 꺼진불도 다시 봐야 한다는 표어처럼,피부만이 아닌 우리몸 전반의 균형을 살펴보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꺼진 불도 다시 보자”…건선 치료의 중요성
입력 2014-11-26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