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당사자인 이란과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은 24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회담을 갖고 당초 이날까지인 핵 협상 시한을 다시 내년 7월 1일까지 연장키로 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또 다음달 중 회담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12년을 끌어온 이란 핵 문제가 결국 이번에도 종지부를 찍지 못한 채 또 다시 다음 시한까지 살얼음판 협상을 계속 이어가게 됐다.
이란과 주요 6개국은 이날 마지막 협상에 돌입했으나 이란 핵 활동 제한 및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를 둘러싼 양측의 이견을 좁히지 못해 협상 기간을 추가로 연장하기로 했다.
이란 국영 프레스TV는 미국 측이 이란에 이날로 끝나는 핵 협상 시한을 연장하자고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프레스TV는 핵 협상에 관계가 깊은 소식통을 인용해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에게 ‘양측 모두 시한 연장을 고려해 볼 시점이 됐다’고 제의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날 협상은 연기 시점 논의에 집중됐고, 이란과 서방 6개국은 시한 연기에 의견을 모았다.
이번 협상에서 서방의 목표는 이란이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차단하는 것이었지만 이란은 자신들의 핵 활동이 평화적 목적이라고 반박하며 통제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서방은 구체적으로 이란에 우라늄 농축 중단, 중수로의 경수로로의 설계변경,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원심분리기 감축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 문제를 놓고서도 이란은 제재가 일괄적이고 영구적으로 즉시 해제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서방은 이란의 핵 활동 축소에 따라 단계적으로 풀 수 있다는 입장을 개진했다.
이란 핵 문제는 2002년 이란의 반정부 시민단체가 이란에 우라늄 농축 시설이 비밀리에 가동되고 있다고 폭로하면서 불거졌다. 특히 2005년에 반서방 강경보수파인 마무드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이란과 서방사회의 갈등이 커졌고 이란도 우라늄 농축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그러다 지난해 8월에 이란에서 중도파인 하산 로하니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의 돌파구가 마련돼왔다. 이란과 서방 6개국은 지난해 11월에 ‘이란 핵 프로그램 제한 및 대이란 경제제재 완화’ 내용의 잠정안 도출한 뒤 최종안을 올해 7월까지 도출키로 합의했었다. 그러다 시한을 이달 24일까지로 한 차례 연기한 뒤 막판 협상에 매달려왔다.
협상 시한이 연기되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다음 시한 내 협상이 타결되리란 보장이 없어 협상 테이블 자체가 계속 유지될지도 의문이다. 특히 최근 중간선거에서 패배한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핵 협상까지 연기함에 따라 미국 내 보수파에서 협상 무용론을 제기할 가능성도 높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이란 핵 협상 난항…내년 7월1일까지 연장 합의
입력 2014-11-24 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