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부동산 대책 등 정부의 강력한 규제완화 정책에 힘입어 지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전국의 아파트 가격이 올해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20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11월 현재 전국의 아파트 가격은 작년 말 대비 2.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과 2013년 각각 3.79%, 0.13% 하락했다.
아파트 가격 상승은 지역별로는 지방이, 주택형별로는 소형이 상승세를 이끌었지만 작년에 비해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가격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1.57% 하락했던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올해 1.9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1월 현재까지 2.05%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로 돌아선 것은 2009년(5.88%) 이후 처음이다.
경기 역시 2009년에 1.24%가 오른 뒤 2010년부터 4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1.72%로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3.32% 올랐던 지방은 올해도 3.42%의 비슷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주택거래에 나서면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로 전환한 것이 올해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보인다”며 “특히 재건축 규제완화와 사업추진으로 재건축 단지들이 상승세를 견인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에 이어 대구가 8.86%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충북이 6.46%로 상승폭이 컸고, 경북 4.55%, 충남 3.91%, 광주가 2.91%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대구와 경북의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각각 12.07%, 9.97% 오른 것에 비하면 올 들어 상승폭이 크게 둔화된 것이다.
주택형별로는 주로 소형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전국 기준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기격이 3.41%로 오름폭이 가장 컸고, 60∼85㎡ 초과 2.58%, 85㎡ 초과 중대형이 1.46% 각각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의 경우 60㎡ 이하가 3.05%로 가장 많이 올랐고, 60∼85㎡가 2.15%, 85㎡초과가 0.96% 각각 상승했다. 지방은 올해 들어 각각 4.11%, 3.44%, 2.86% 올랐다.
그러나 작년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중대형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전용 60㎡ 이하는 지난해(2.07%)보다 올해 상승폭이 1.33%포인트 더 커졌지만 지난해 2.4% 하락했던 85㎡ 초과 중대형의 경우 올해 상승 전환하며 작년 대비 3.85%포인트가 움직였다.
서울 역시 전용 60㎡ 이하의 상승률 지난해 0.54%에서 올해 2.66%로 가장 많이 올랐지만, 전용 85㎡ 초과 중대형이 지난해 -3.81%에서 올해는 1.42% 상승하며 작년대비 변동폭이 5.23%포인트로 가장 컸다.
대구의 경우 지난해 전용 60㎡ 이하 아파트값이 18.32% 올랐지만 올해는 6.66%로 상승폭이 크게 줄어든데 비해 85㎡ 초과 중대형은 지난해 6.29%에서 올해 9.36%로 상승폭이 더 확대됐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전반적으로 소형이 상승세를 이끌었지만 지난해 약세를 주도했던 중대형의 수요도 올해 상대적으로 많이 늘었다”며 “소형 못지않게 중대형 거래가 늘어난 것이 주택경기 회복세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전국 아파트값 2년 연속 하락세 마감…상승 전환
입력 2014-11-20 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