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삼고초려를 하며 김태호 최고위원의 사퇴를 적극 만류하고 있다. 그 배경에는 당내 역학 구도에 따른 셈법이 놓여있다는 평가가 많다. 당권파와 친박(친박근혜) 주류 간의 팽팽한 헤게모니 싸움에서 밀리지 않으려고 김 최고위원 잡기에 공을 들인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 최고위원의 정원은 원래 7명이었다. 그런데 김 대표가 아직 지명직 최고위원 2명 중 1명을 지명하지 않아 당 지도부는 6인 체제로 유지돼 왔다. 당권파와 친박계로 분류하면 ‘3대 3 구도’로 수적 균형을 맞추고 있다. 지난 7월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김 대표와 서청원·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에다 여성 몫 김을동 최고위원, 지명직 이정현 최고위원이 바로 그들이다.
당권파에는 김 대표와 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으로, 친박 측으로는 서청원·이정현·김을동 최고위원으로 묶인다. 18대 총선에서 친박연대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던 김을동 최고위원을 양쪽 진영이 서로 “우리 편”이라고 보는 경향도 있다. 김을동 최고위원은 박근혜정부 초기 새누리당을 이끈 친박 주류와 거리가 먼 데다 김 대표와 가까워 당권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지금까지는 수적 분류를 떠나 김 대표의 당 장악력과 리더십이 워낙 강했기 때문에 당권파가 당을 주도하는 모양새였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어느 순간 눈에 띄는 갈등 없이 김 대표 체제로 굳혀졌다”고 했다.
하지만 김태호 최고위원이 사퇴 의사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지도부에 균열을 초래할 뿐 아니라 비당권파로 기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홍문종 의원을 비롯해 친박 주류들이 김 대표 체제를 정면 비판하는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데다, 국가경쟁력강화포럼 등 친박 진영의 세 결집 움직임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만약 김태호 최고위원이 끝내 사퇴하고 친박 중진의원이 그의 빈 자리를 메우게 되면 김 대표 입장에서는 ‘2대 4’라는 세 불리 상황에 몰리게 된다. 그래서 김 대표에게 김 최고위원을 ‘미워도 다시 한번’ 붙잡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27일 최고위원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아직 (설득작업이) 진전 중”이라고 했다. 김 대표의 한 측근은 “개헌론을 주장하려면 지도부에 들어와서 하는 게 합당하다는 이유 때문이지 진영 논리 때문은 절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당내 분란에다 ‘개헌 봇물’ 발언 이후 당청관계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김 대표 본인의 지지율도 하락세다. 여론조사 기관인 리얼미터에 따르면 김 대표에 대한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는 7일 전보다 2.9% 포인트 떨어진 12.8%를 기록했다. 1위인 박원순 서울시장(20.6%)에 이어 2위이긴 하지만, 7·30재보선 이후 처음으로 15%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세월호 특별법 합의가 타결된 직후였던 10월 첫째 주에 김 대표는 박 시장을 제치고 선두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후 3주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조사는 지난 20~24일 19세 이상 25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로 집계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 포인트였다.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당청 갈등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을 적극 지지하는 사람들 중 일부가 김 대표 지지 대열에서 이탈했고 김태호 최고위원의 사퇴 파동으로 하락폭이 더 커진 것 같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이 김태호 잡는 진짜 속내는
입력 2014-10-27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