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0일 오후 3시55분쯤 경기도 연천 지역에서 공중으로 14.5㎜ 고사총 여러 발을 발포했다. 우리 군은 총탄을 확인한 뒤 오후 5시40분쯤부터 K-6 기관총으로 40여발 응사했다. 그 직후 북한군도 우리 GP를 향해 총격을 가했다. 지난 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함정간 기관포 사격이 있은 지 사흘 만의 2차례 육상교전이다. 한반도 긴장지수가 급상승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측 민간단체가 전단지가 담긴 대북 풍선을 띄운 후 오후 3시55분부터 북측 지역에서 발사한 10여발의 총성이 청취됐다”라며 “오후 4시50분쯤 민통선 일대 아군부대 주둔지에 북한군 고사총탄 여러 발이 떨어져 있었다”라고 했다.
북한 군의 실탄을 확인한 합참은 북한의 사격 이후 1시간반이 지난 오후 5시30분 경고 방송을 하고 5시40분부터 북한군 GP에 K-6 기관총 40여발을 쐈다고 밝혔다. 그 직후 북한 군은 오후 5시40분쯤 우리측 GP 쪽으로 사격을 했다. 1차, 2차에 거쳐서 총격전이 벌어진 것이다.
군은 현재까지 우리 측 피해 사실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지만, 합참은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연천 지역에는 진돗개 하나가 발령됐다가 오후 9시쯤 해제됐다. 민통선 안에 사는 주민들은 경계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대피소에서 시간을 보내야 했다.
이날 교전은 북한의 민주화를 촉구하는 단체들이 대형 풍선으로 북쪽에 날려보낸 전단지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탈북자 단체 등은 이날 경기도 파주 오두산통일전망대 주차장에서 삐라 20만 장을 대형 풍선에 날려 띄워보냈고, 이 가운데 하나는 좀 떠오르다가 터져버려 전단지가 주차장에 흩날리기도 했다. 연천군 일대에서도 또다른 단체가 북으로 삐라가 담긴 풍선을 날려보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북한의 대남기구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하루 전인 9일 “남측이 삐라 살포 난동을 허용하거나 묵인한다면 북남관계는 또다시 수습할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닫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해상교전 사흘 만에 또…삐라가 불러온 남북 2차례 육상교전
입력 2014-10-10 19:49 수정 2014-10-10 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