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연구팀 세계이식학회에 발표
이식환자, 식이조절과 인조절로 혈관석회화 예방 필수
국내 의료진이 신장(콩팥) 이식을 앞둔 환자의 장골동맥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혈관석회화’ 증상이 있을 경우,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나빠진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 정병하·문인성·김지일 교수팀과 대전성모병원 신장내과 김석영· 황현석 교수팀은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간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 90명의 장골동맥 조직을 잘라 특수 염색을 한 후 조직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임상연구결과는 세계이식학회 공식학술지(Transplantation) 9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조사 결과 53.3%인 48명 환자혈관의 석회화가 일어난 부분에 색이 스며들며 혈관 석회화 양성반응을 보였다.
또한 혈관석회화가 양성인 환자가 이식신장의 기능을 소실할 정도는 39.6%로 음성인 환자들의 14.3%에 비해 3배 높았고, 이식신장의 8년 생존율은 혈관석회화 양성인 환자들이 음성인 환자들에 비하여 약 40% 낮았다.
장골동맥은 복부 대동맥에서 다리로 내려가는 골반 내에 위치한 큰 동맥으로, 이식 수술 시 이식하는 신장과 연결하는 혈관이다. 만성콩팥병환자나 투석환자의 혈관석회화는 동맥경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특히 관상동맥이나 대동맥의 석회화는 심혈관계 합병증 및 환자사망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장골동맥의 석회화에 대한 임상적 의의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팀에 의하면 혈관석회화가 양성인 환자들은 사구체여과율이 1년에 10mL/min씩 감소한 반면 음성인 환자들은 4mL/min감소해 약 2.5배 빠른 속도로 이식신장의 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구체여과율은 신장이 일정 시간 동안 특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혈장량으로 정의된다. 신장의 노폐물 여과 기능을 살펴보는 것으로 사구체여과율이 90mL/min/1.73㎡ 이상이면 정상이고, 15mL/min/1.73㎡ 미만이면 신장의 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로 투석이나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이 필요하다.
양철우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 신장이식을 받는 수혜자의 혈관상태 특히 공여자의 신장과 연결하는 장골동맥의 석회화가 이식환자의 생존율과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혈관이 딱딱하게 굳으면서 신장으로 가는 혈류량이 줄게 되어 결국 신장의 기능도 저하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양 교수는 “궁극적으로 이식을 고려하고 있는 만성콩팥병환자와 투석환자는 혈관석회화를 예방해야 이식 수술 후 이식신장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인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제한하는 식이조절과 인조절을 위한 약제복용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혈관석회화’ 증상 있으면, 이식 신장 생존률 40% 줄어
입력 2014-09-17 10:05 수정 2014-09-17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