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끝나기가 무섭게 철도요금이 오른다는 소식이다.
이는 결국 전반적인 공공요금 인상을 압박하는 것이어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들의 허리가 더 휠 전망이다.
코레일은 31일 내달 중 이용요금을 7.5% 인상하는 내용의 개편안을 확정했다. 이번 개편안의 핵심은 주중 요금할인제도를 없애는 것. 코레일 2007년 7월부터 평일에 한해 KTX는 7%, 새마을무궁화호 4.5%의 요금을 할인해왔는데 이 제도를 폐지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서울~부산 평일 기준요금은 5만3300원에서 4000원이 오른 5만7300원, 4.5% 인상된다.
또 KTX 역방향과 출입구 좌석 5% 할인, 임직원들 10% 할인혜택도 없어진다. 대신 정상가 절반값인 1개월 정기승차권 가격은 최대 7%포인트 추가 할인된다.
즉 정기 이용자들의 요금 찔끔 내리는 반면 일반 이용객 요금은 더 받겠다는 이야기다. ‘할인제도 폐지’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요금인상인 셈이다.
코레일의 요금인상 결정은 경영 개선이 명분.
그러나, 이는 방만 경영으로 파업이라는 몸살을 앓았던 코레일이 자구노력은 소홀히 한 채 그 책임을 국민들에게 떠넘기는 결과로 상당한 반발이 예상된다.
정부도 마땅찮은 모습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할인제도 폐지는 정부가 관여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라면서도 “물가 상승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는 신중함을 내보였다.
코레일의 경영개선이라는 명분도 약하다.
지난해 부채가 17조5800억원으로 3년 만에 40% 늘었다고 걱정하지만 같은 기간 직원 1인당 급여는 500만원이나 올랐고 복리후생비도 28원 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내달 KTX 요금 인상… 결국 국민이 봉?
입력 2014-07-31 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