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철회냐, 자진 사퇴냐, 제3의 절충안이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선택에 온 국민들의 관심이 쏠려있다.
“귀국해서 재가 검토”라고 밝힌 박 대통령이 21일 밤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22일 참모들로부터 문 후보자 사태에 대한 여론 동향 등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이날 오후 김기춘 비서실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문 후보자 거취 문제 등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와 여권은 일단 지명철회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박 대통령 스스로 자신의 인사가 잘못됐음을 인정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또 재보선을 앞두고 ‘인사 참사’라는 야권의 비난을 피할 수없는데다 청와대 인사위원장인 김기춘 비서실장의 진퇴와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와대는 내심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바라는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내에서 문 후보자를 변호하는 목소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핵심부도 비준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압박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 때문에 문 후보자가 더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실제 문 후보자가 21일과 22일 집무실에 출근하지 않고 자택에 머문 것도 이같은 가능성을 염두해둔 것이 아닌가 하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만일 문 후보자가 끝내 자진사퇴를 거부한다면 문 후보자가 박 대통령에게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박 대통령이 수용하는 ‘중재안’이 선택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06년 전효숙 당시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는 4차례 국회 본회의 상정 무산이라는 극심한 진통 끝에 지명철회 요청하는 방식으로 논란을 매듭 바 있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사퇴’ 방식만 남은 문창극… 朴의 선택은?
입력 2014-06-22 1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