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담화’ 이후 세월호 민심 풍향계는?] 反與기류 견고… 與, 강력한 ‘반전 카드’ 고심

입력 2014-05-22 03:32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발표와 청와대·정부의 즉각적인 후속조치 착수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참사에서 야기된 민심 악화가 좀처럼 반전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이 직접 국가 시스템 개혁과 여러 수습 대책을 내놨음에도 극적인 상황 변화가 나타나지 않자 청와대가 민심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양상이다.

청와대가 현재까지 파악한 민심은 여전히 정부 책임론과 반(反)여당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최근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당의 약진세가 두드러진 반면 수세에 몰린 여당의 반등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다. 특히 각종 여론조사 결과 60%를 웃돌던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대국민 담화 이전 4주 연속 하락해 40%대까지 떨어졌고, 담화 이후에도 소폭 반등하는 데 그쳤다.

청와대의 고민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여전히 정국을 뒤덮고 있는 세월호의 그림자”라 할 수 있다. 야권은 담화 이후 정부·여당에 대한 공격 수위를 오히려 더 높이고 있고, 세월호 유족과 일반 시민들의 여론도 잘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상황이 어렵게 돌아가자 청와대 내부에서는 “야당이 터무니없는 꼬투리를 잡는데 왜 집권여당은 제대로 반격조차 하지 못하느냐”는 불만도 터져나오고 있다. 연일 새정치민주연합 측이 박 대통령의 사후 구상을 폄하하는데도 새누리당에서는 적절한 반박조차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여권 내부에서는 이미 6·4지방선거의 최대 이슈가 세월호 참사로 정리돼 버렸다는 낙담도 흘러나온다. 이대로 가다간 새누리당의 참패로 끝날 것이라는 위기감의 발로이자 “청와대가 정국의 키를 돌리라”는 주문인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청와대가 주도적으로 정국 전환을 이끌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대국민 사과와 함께 미래를 향한 비전을 제시해야 할 청와대가 선거 승리에만 집착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선거개입 논란까지 야기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청와대는 민심을 돌리는 최후 카드로 국무총리 교체와 대규모 개각을 꺼내들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획기적인 인적 쇄신의 파급력이 향후 민심의 방향점을 바꿔 놓을 결정적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21일 “현 정국을 타개할 유일한 돌파구는 정부의 면모를 확 바꿀 대통령의 인적 쇄신”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도 이 같은 상황을 잘 이해한 듯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을 마치고 오전에 귀국하자마자 차기 총리 인선과 개각에 대한 막바지 구상에 돌입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주중 후임 총리 내정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통령이 인선 작업을 놓고 숙고하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22일과 23일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것도 이런 맥락이다. 다만 세월호 희생자 수습이 끝나지 않은 점을 고려해 다소 늦춰질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순 없다.

내각 개편은 새로운 총리 내정자가 발표된 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국무위원은 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절차를 밟게 돼 있지만 물러나는 정 총리가 제청을 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총리 임명동의안 제출과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내각 개편은 지방선거 이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내각 개편의 폭이 클 경우에는 국정 운영의 안정성이나 북핵 등 안보 상황 등을 감안해 청와대 참모진 상당수가 유임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