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피해 업종 지원 늘리기로… 정부, 민생대책 후속회의

입력 2014-05-12 02:03

정부가 11일 세월호 참사 영향을 받아 경영난을 겪는 여행과 운송 업종 및 해당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지난 9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긴급 민생대책회의에 보고된 지원방안이 경기를 살리기에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 부처 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월호 참사 관련 긴급 민생대책회의 후속 회의를 열었다. 정부는 우선 여행·운송·숙박업체 운영자금 지원 차원에서 동원하는 관광진흥개발기금 규모를 앞서 발표한 15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원금리도 기존에 제시한 연 2.25%보다 0.25% 포인트 낮은 2.0%로 하향 조정했다.

여행·운송·숙박 등 피해 우려 업종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규모도 기존 3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증액했다. 지원금리 역시 기존 연 3.2%에서 3.0%로 인하했다. 지원 금액 1000억원 중 10% 이상은 경기도 안산과 전남 진도군 지역에 우선 배정된다.

안산·진도 지역의 세금 납부 부담을 줄여주는 차원에서 납부기한 연장, 징수 유예 등을 하면서 징수 유예 기간에 종합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등은 분할 납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유예기간이 종료된 이후 한꺼번에 세금을 내는 것보다 분할 납부하는 것을 선호하는 납세자도 있다는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금융업계도 세월호 참사로 피해를 본 업종과 안산·진도의 특별재난지역 중소기업 등에 금융 지원을 하기로 했다. 운송·숙박·여행업종 등에 대해서는 3개월간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원리금 상환을 유예해 주기로 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