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안철수 DNA’ 심기… 진보세력과 충돌 가능성
입력 2014-03-18 03:11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발기인대회를 마친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신당에 ‘안철수 DNA’ 심기를 밀어붙이고 있다. 안 의원 측은 “이견이 있다면 밤샘 끝장토론도 불사하겠다”며 이달 말 창당 전에 정강정책 등에 요구조건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신당의 정체성을 민주당과는 확실히 다르게 가겠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어 민주당 내 진보세력과 마찰이 예상된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19일 김한길 대표와 안 의원이 주관하는 지도부 만찬 회동을 갖고 정강정책 방향을 조율한다는 방침이다.
안 의원은 17일 서울 여의도 신동해빌딩에서 열린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 회의에서 “새 정당은 변화의 진정성을 갖고 있으면서 합리적 개혁을 추구하는 정당임을 분명히 보여야 한다”며 “창당 일정도 중요하지만 내용을 제대로 채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새정치연합 김효석 공동위원장은 우클릭을 가미한 신당의 정책 노선을 명확히 밝혔다. 그는 “분배나 경제민주화와 더불어 포용적 성장을 균형 있게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벌과 재벌총수의 문제를 구분해 재벌총수 문제를 기업에 대한 문제로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면서 “재벌 때리기 등 반기업적 정책으로 비쳐지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 측은 이날 A4용지 17쪽 분량의 정강정책 초안을 마련해 민주당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변재일 민주정책연구원장은 “안보통일 정책에서는 보수적, 경제사회 분야에서는 진보적 성향이 반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초안을 검토한 결과 민주당이 추진했던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고 이번 주 내에 정강정책을 마련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를 중심으로 한 민주당 지도부가 중도를 지향하고 있는 데다 정체성 논란으로 창당 작업에 차질을 빚지는 않겠다는 의지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세부적인 내용들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음을 내비쳤다. 변 원장은 안 의원 측이 보편적 복지의 수정 개념으로 제시한 ‘중부담 중복지’에 대해 “가운데 ‘중(中)’이면 단계적 복지, 무거울 ‘중(重)’이면 상당한 수준의 보편적 복지를 말하는 것 아니냐”며 “용어의 의미를 확인할 분야가 몇 가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안 의원은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민주당 4선 이상 중진 의원 7명과 점심식사를 함께하고 기초연금 문제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안 의원은 또 친노배제론을 주장하는 민주당 조경태 최고위원을 의원회관으로 찾아가 만나기도 했다.
엄기영 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