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방통위원장에 ‘판사 출신’ 최성준 내정

입력 2014-03-15 03:07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친박(親朴)계 중진’인 이경재(73) 방송통신위원장을 사실상 경질하고 신임 방통위원장에 최성준(57)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내정했다. 이계철 전임 위원장의 잔여 임기를 이어받아 지난해 4월에 임명돼 25일 임기가 끝나는 이 위원장을 연임시키지 않고 교체해버린 것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최 내정자는) 한국정보법학회장을 현재 맡고 있는 등 전문성과 경험을 갖췄다”며 “방통위 업무를 판사로 재직하며 쌓은 경험과 식견을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처리할 것으로 보여 발탁했다”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최 내정자는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 법대(사시 23회)를 졸업했으며 1986년 판사로 임용됐다. 28년간 민·형사 판사와 서울중앙지법 민사수석부장판사, 춘천지방법원장,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등을 거쳤다.

방통위는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위원 중 위원장을 포함한 두 명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세 명은 국회(여당 1인, 야당 2인)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최 내정자는 “방통위원장 업무 내용 중엔 정치적인 부분도 있어 걱정도 된다”며 “법관으로 일하며 정치와 담 쌓고 지냈다”고 말했다. 인사 청문회 통과 여부를 묻는 질문엔 “흠 없이 살아왔다고 생각한다. 큰 줄기에 있어서는 바르게 살아왔다”고 답했다.

박 대통령이 후임 방통위원장으로 현직 고법 부장판사를 내정한 것은 다소 의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주변에서는 방통위 업무의 주 영역이 규제 관련으로 법률적 지식이 필요한 데다 최 내정자가 유력한 대법관 후보에 거론될 정도로 강직하고 유능한 법조인이라는 점 등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편 정치권과 관가 안팎에선 방통위원장 교체를 두고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위원장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때 박 대통령 경선캠프 미디어홍보위원장을 맡았고 18대 국회에선 여야가 미디어법 처리를 두고 격돌할 때 박 대통령을 상대로 조언자 역할도 했다.

그러나 최근 이 위원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정치권이나 미디어 업계에선 교체설이 심심찮게 흘러나왔다. 박 대통령이 관심을 가진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안 등 방통위 소관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는데도 방통위가 적극 대처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위원장은 지난달 민 대변인 임명과 관련, 국회 답변 과정에서 “KBS 윤리강령을 위배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청와대를 난처하게 만들기도 했다.

박지훈 나성원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