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강제 성노예’ 표현… 日 태도 변화 촉구
입력 2014-03-06 03:51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국제무대 연설에서 우리 외교부 장관이 위안부 문제를 명시적으로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윤 장관은 영어로 진행된 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위안부(comfort women)’라고 지칭하면서 ‘일본 제국주의 군에 의해 징집된 전쟁 성노예 희생자’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면서 영어로 ‘성노예(sexual slavery)’, ‘징집(draft)’ 등의 단어를 쓴 것은 드문 일로 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정하는 듯한 일본의 태도를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윤 장관은 연설의 절반가량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할애하면서 이 문제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윤 장관은 연설문에서 일본의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과 관련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을 짓밟는 것”, “반인도적·반인륜적 처사” 등의 표현을 쓰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회피하면서도 여성 성폭력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하는 일본에 대해서도 “이중적 태도”라고 직설적으로 비난했다.
윤 장관의 고강도 대일 비판은 일본의 과거사 도발이 한계를 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 정부의 대응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과거사 부정 행태를 보여 온 일본이 어떤 식으로 반응할지 주목된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