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길재 통일부 장관 “대북 농업·삼림 협력사업 경험있는 NGO 역할 중요”

입력 2014-03-06 01:33

정부가 농업분야 대북협력을 추진하면서 국내 NGO(비정부기구)들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려면 대북교류를 금지한 5·24 조치의 완화 등 더 전향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5일 월드비전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대북 농업개발 협력사업 방향모색’ 세미나에서 “농업 협력을 시작으로 삼림 협력 등으로 확대하고 경제 협력까지 단계적으로 대북 협력이 진행돼야 한다”며 “이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NGO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NGO들은 북한에서 씨감자 생산, 국수공장 및 빵공장 건설과 운영 등 농업과 식량 사업을 북한에서 진행해왔지만 남북관계 경색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반면 ‘유럽연합 프로그램 지원단(EUPS)’ 산하의 NGO들은 평양에 상주직원을 두고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 NGO 관계자는 “확실히 분위기는 달라지고 있다”며 “그동안 방어적이었던 정부 관계자들도 대북 지원을 독려하고 있고, 북한도 적극적”이라고 전했다.

일부 NGO들은 비료 지원이나 토양 조사 등의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농업분야 중에서도 직접적인 인적 교류가 이뤄질 수 있는 기술지도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이 같은 사업을 NGO에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NGO들이 제대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대북 교류를 금지한 5·24 조치 등이 완화돼야 하지만, 아직 그럴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른 NGO 관계자는 “북한 농업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토양을 개선하는 것”이라며 “당장 올해부터 농업분야 협력이 이뤄지려면 봄에 비료와 종자 같은 기초 농자재를 보내야 하는데, 지금으로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북한 역시 주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지원받길 원하고 있어 농업분야 협력이 동상이몽 수준을 벗어나 실질적인 협력이 이뤄지려면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