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지원 문화누리카드 관심 폭발
입력 2014-02-26 02:34
정부가 저소득층을 위해 도입한 ‘문화누리카드’ 신청을 선착순으로 받으면서 홈페이지가 마비되는 등 일대 소동이 빚어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급기야 25일 오후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해보다 접속 회선을 30배 이상 늘리며 대비했으나 지원금이 확대되고 관심이 커지면서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음을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문체부와 문화융성위원회는 24일 온라인 홈페이지(www.문화누리카드.kr)와 지방자치단체 주민센터를 통해 카드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문화누리카드는 기존 문화이용권에 여행, 스포츠 관람 이용권을 통합한 것으로 문체부가 올해부터 도입한 사업이다.
신청자에게는 연간 10만원 한도의 문화누리카드가 가구당 1장씩 발급된다. 청소년 대상자도 기존 10∼19세에서 만 6∼19세로 확대해 개인당 연간 5만원 한도로 1장씩 지원한다. 가구당 5명까지 발급이 가능해 최대 35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해졌다.
여기에 혜택 범위 또한 넓어졌다. 공연, 전시회, 영화 관람은 물론 문화예술 강좌까지 들을 수 있다. 또 관광여행업으로 가맹된 여행사에서 판매하는 모든 상품과 축구·농구·야구·배구 4대 프로 스포츠 등 경기 관람 입장권도 구입할 수 있다.
문제는 신청 대상자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330만명 중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그 절반인 144만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는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았고, 한꺼번에 신청자들이 몰리면서 홈페이지가 이틀째 마비된 것이다.
오프라인 신청자들의 불만도 폭주하고 있다. 인터넷에는 “주민센터에 가서 겨우 신청했는데 담당자는 신청자가 많아 카드가 발급될지조차 모른다고 하더라”는 불만글이 올라오고 있다. 여기에 문화누리카드를 발급하는 농협이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카드 발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일선 지자체에서는 카드가 부족한 사태까지 빚어졌다.
인터넷에서는 “문화복지 사업을 선착순으로 진행하는 이런 경우가 어디 있느냐”는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