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지방선거 ‘정당 득표율’에 신경쓰는 이유
입력 2014-02-14 02:31
다음 달 창당하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이 6·4지방선거에서 광역의원 비례대표를 뽑는 기준인 정당 득표율에 관심을 쏟고 있다. 정당 득표율은 각 정당이 시·도별로 얼마만큼 국민 지지를 받았는지 알 수 있는 지표다. 가상 시나리오인 여론조사와 달리 대안세력으로서 안철수 신당에 대한 대국민 평가를 받는 첫 번째 실전 경기가 되는 셈이다.
안 의원 측 관계자는 13일 “지방선거 정당 득표율을 전국정당화 성패를 가늠하는 선행지표로 보고 있다”며 “오락가락하는 여론조사와 달리 신당에 대한 국민의 정확한 여론을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근 호남에서 안철수 신당의 여론조사 지지율은 다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선거에서는 광역·기초단체장뿐 아니라 서울·경기 등 광역 시·도의회 의원을 선출한다. 이 중 일부를 정당의 득표율에 따라 배분하기 때문에 시·도별 정당 득표율이 집계된다. 후보 개개인의 인지도가 떨어져도 당 ‘간판’을 내세울 수 있는 신당이나 소수당에 유리한 제도다.
이에 따라 호남에서 민주당과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안 의원 측 입장에서는 득표율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2010년 지방선거의 경우 전국 평균 득표율은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 39.59%, 민주당 34.57%, 민주노동당 7.26% 순이었다. 호남에서는 민주당이 55%를 넘는 득표율을 얻었으나 제3당인 민주노동당도 10%를 훨씬 넘는 득표를 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지방선거 중 특히 기초선거에서 야권이 고전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시·도지사 선거는 승부처 몇 곳에서 민주당과 신당 간 빅딜을 통해 3자 구도를 피할 여지가 있지만 선거구가 많은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원 선거는 사실상 통제가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서울의 경우 25개 자치구 중 19개가 민주당 소속 현역 구청장이다. 경기도도 기초단체장 31명 중 19명이 민주당 소속이다. 수도권에서 3자 구도가 형성된다면 야권이 절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으로 몰릴 개연성이 높다. 민주당 수도권 3선 의원은 “진짜 비상이 걸린 곳은 광역단체장이 아니라 기초단체장 선거”라며 “단일화 논의가 쉽지 않아 새누리당의 어부지리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특히 기초선거는 중앙당 차원에서 일일이 야권연대를 논의하기도 어렵다. 2010년 야권연대 협상에 참여했던 민주당 의원은 “중앙당 혹은 시·도당 차원에서 기초선거에 대한 단일화 협상을 진행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성수 김아진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