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측근, 北 고위관리 비밀 접촉한 듯

입력 2014-02-12 02:33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측근이 지난해 10월 중국 다롄에서 일본의 독자적 대북 경제제재 해제 문제를 포함한 현안을 북한과 비밀리에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통신이 11일 보도했다.

통신은 아베 총리의 자문 역인 이지마 이사오 내각관방 참여가 지난해 10월 하순 나흘 일정으로 다롄에서 북한 고위관리와 접촉했다고 복수의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이지마 참여가 비밀리에 북한과 대북 경제제재 해제 등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지난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계속되던 한국과 미국, 일본의 대북 공조체제를 파기했다는 비난을 면키 힘들 것으로 보인다.

통신은 이지마 참여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본부 건물 경매문제와 일본의 독자적인 대북 경제제재, 북·일 정상회담을 위한 사전작업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통신은 이지마 참여의 방중 시기가 조총련 본부 건물에 대한 재경매 시기와 겹친다는 점에 주목했다. 1986년 완공 후 사실상 북한 대사관 역할을 해 온 조총련 본부 건물은 총련계 금융기관 부실로 경매에 넘겨졌으나 1차 낙찰자가 돈을 내지 못해 지난해 10월 재경매에 부쳐졌다.

북한은 지난해 5월 북한을 방문한 이지마 참여에게 조총련 본부 건물의 계속적인 사용을 요청한 바 있다. 이지마 참여는 2002년과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의 정무비서관으로 평양을 방문하는 등 일본의 대북 접촉에 깊이 관여해 왔다.

일본은 지난달 26∼27일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하라 준이치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3명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한 외무성의 유성일 일본과장과 비밀리에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일본인 납치 문제 등 일본과 북한 간 협의는 북핵, 미사일 문제와 마찬가지로 한·미·일 간 긴밀한 소통과 협의 하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우경화 행보를 계속하고 있는 아베 정권은 오는 22일 시마네현이 주최하는 ‘다케시마(일본이 독도를 이르는 명칭)의 날’ 행사에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영토문제를 담당하는 가메오카 요시타미 내각부 정무관(차관급)을 파견키로 했다고 NHK가 보도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