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 금감원장 ‘보여주기식 현장점검’… 정보유출 대책 없고 경영진 처벌엔 뻔한 답만

입력 2014-01-17 01:35

금융감독원은 15일 오후 8시 출입기자들에게 갑작스런 문자를 보냈다. 최수현 금감원장이 금융회사 정보유출과 관련해 다음날 긴급 현장방문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1억건이 넘는 고객정보를 유출한 카드사 세 곳 중 가장 규모가 큰 KB국민카드 본사를 직접 찾아가겠다는 뜻이었다. 문자 말미에는 ‘기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취재를 부탁드린다’고도 했다. 16일 오전에는 ‘금감원장의 긴급 현장방문을 위해 기자들이 탈 대형버스를 배차했다’는 내용의 문자도 들어왔다.

최 원장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새문안로3길 KB국민카드 본사에 모습을 보였다. 그는 “현장에서 피해방지대책이 어떻게 마련되는지 직접 점검해 보고 금융진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왔다”고 했다. 그는 이어 “(정보유출로) 고객이 금전적 피해를 보면 카드사 등을 통해 철저히 보상토록 하겠다”며 “전액 보상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최 원장의 메시지는 이게 다였다.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을 만난 자리에서도 “향후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히 부탁한다”며 원론적 얘기를 반복했다. 비공개 회의 시간은 고작 15분정도였다. 최 원장은 기자들의 질문에 진전된 답을 내놓지 못했다. 경영진에 대한 강력한 처벌에 대해서는 “법 위반 사실이 발견되면 관련규정에 따라 엄히 조치하겠다”는 뻔한 답을 내놨다. 정보유출이 빈번하게 이뤄지는 상황에서 금감원의 책임을 묻는 질문에 “근본적 대책에 대해 금융위와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의미 없는 현장방문에 금감원이 책임 논란을 피하기 위한 보여주기용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정보유출의 주범인 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나 NH농협·롯데카드에 대해서는 현장방문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KCB는 피해자 보호대책을 내놓으라는 금융당국의 압력에 피해 고객 대상으로 1년 동안 신용정보보호서비스를 무상 제공키로 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