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비대위-친이계 大충돌

입력 2011-12-29 18:47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 이상돈 비대위원의 이명박 정권 핵심 실세 퇴진 발언으로 촉발된 한나라당 내부 파장이 본격적인 계파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당 안팎에서는 이번 일이 집권 말기의 이명박 대통령과 차기 대선 행보에 돌입한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결별로 이어질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범이명박계이자 직전 당 대표였던 홍준표 전 대표는 29일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조용환 헌법재판관 내정자를 부정하는 이유가 북한의 천안함 폭침사건(에 대한 부정적 입장) 때문인데, 그걸 부정하는 사람을 한나라당 비대위원으로 둬서 되겠느냐”고 이 비대위원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위원은 과거 한 보수 인터넷 사이트에 올린 칼럼에서 천안함 침몰 원인으로 과잉무장에 따른 선체피로 가능성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 전 대표는 또 김종인 비대위원에 대해 “검사 시절 내가 (동화은행 뇌물수수 사건으로) 자백을 받았던 사람”이라며 자격을 문제 삼았다. 다른 친이계 의원들 사이에서도 “비대위가 5공화국 국보위냐. 점령군이냐”는 노골적인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상황이 심각해지자 박 비대위원장은 의총 참석 전 기자들에게 이 위원 발언이 “개인 의견 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의총 모두발언에서는 “우리 모두는 쇄신의 주체도 될 수 있고 쇄신의 대상도 될 수 있다”면서 “쇄신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단정적으로 누구는 쇄신 주체이고, 누구는 대상이라고 해서는 쇄신이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에게 남은 것은 실천”이라며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하면서 이 위기를 함께 헤쳐 나가야 하겠다”고 말했다. 친이계를 비롯해 인적 쇄신 대상으로 거론되는 있는 인사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계획대로 추진할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친박근혜계 내에서도 “이 위원 발언의 표현과 시기에 다소 문제가 있을지는 모르나 전체적으로 방향은 틀리지 않았다”는 의견이 다수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