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南 조문 모두 허용”… 北, 南南 갈등 조장

입력 2011-12-23 21:47

북한이 2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대한 우리 정부의 민간 조문 제한을 “용납할 수 없는 반인륜적 야만행위”라고 비난했다. 김 위원장 사망 이후 우리 정부 조치에 대한 북한의 첫 반응이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웹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는 ‘남조선 당국의 태도를 지켜보고 있다’는 논평에서 “조의방문은 당연한 예의의 표시이고 동포애, 미풍양속, 인륜 도덕적 측면에서 응당히 해야 할 도리”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사이트는 우리 정부의 조의 표시에 대해서도 “지도자와 주민에 대한 분리 대응을 공공연히 운운하며 공식 애도와 조의 표시를 부정하고 주민들을 위로한다는 식으로 불순한 속심을 드러냈다”면서 “우리 존엄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자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우리민족끼리는 모든 우리 측 민간의 조문을 적극 수용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사이트는 ‘남측 조객들에 대한 우리의 성의 있는 조치’라는 글에서 “우리의 해당 기관에서는 조의 방문을 희망하는 남조선의 모든 조의 대표단과 조문사절을 동포애의 정으로 정중히 받아들이고 개성 육로와 항공로를 열어놓는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이 사이트는 이어 “남조선당국은 그것이 앞으로 북남관계에 미칠 엄중한 영향을 생각해야 한다. 지금 북남관계는 중대한 기로에 놓여 있다”며 “남조선당국이 어떻게 나오는가에 따라 북남관계가 풀릴 수도 완전히 끝장날 수도 있다”고 위협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지난 20일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담화문을 통해 밝힌 조의·조문 원칙에 전혀 변화가 없다는 점으로 분명히 했다. 류 장관은 국회 남북관계발전특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지난번 담화에 발표한 조문단 범위를 더 확대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남측 조문단을 모두 수용하겠다는 북한의 의사표명에 대해서도 “일일이 대꾸할 일은 아니다”며 일축하고 “민간 조문단 파견 문제로 계속 논란을 이어가는 것은 향후의 남북관계를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지난 19일 발령한 공무원 비상근무 4호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외교, 국방, 치안 분야를 제외한 모든 일반 공무원들이 정상근무 체제로 전환했다.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비상근무 해제와 관련해 “비상근무체제가 장기화될 경우 연말연시 경제와 민생이 위축될 가능성을 고려한 조치”라며 “정부는 현재 한반도 안보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