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北·美 관계개선 흐름 일단 제동… 美 “3차회담·식량지원 당분간 어렵다”
입력 2011-12-19 18:34
북·미관계가 중대 기로에 섰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북한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미국은 대북정책을 재조정해야만 하는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우선 최근 북·미관계가 복원되는 흐름에 일단 제동이 걸리게 됐다. 미 행정부는 19일(이후 현지시간) 대북 식량지원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또 북한도 이번 주에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잠정 중단 방침을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었다. 하지만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18일 “3차 북·미회담은 당분간 어려운 분위기”라며 “식량지원이나 북·미대화 등 최근 관계개선 흐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AP통신도 미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북한과의 추가 대화 및 대북지원 결정 발표를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북한 당국자들이 외부 세계와 접촉할 수 있는 입장에 있는지, 북한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불확실하기 때문에 대북 대화 및 지원과 관련된 정책 결정이 연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당장 북한의 대외정책이 크게 변화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 북한이 일단 애도기간을 가져야 하며, 권력 승계를 원만히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대외적 관계보다는 내부 상황 단속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점은 세습 과정에서 있을지도 모를 권력 갈등으로 북한의 불안정성이 극대화되는 상황이다. 이럴 경우 북·미관계는 제대로 진전될 수 없으며 자칫 관리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정은 후계체제가 어느 정도 빨리 자리를 잡느냐도 북·미관계의 주요 변수다. 신기욱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미 준비를 많이 했던 김정일 위원장도 김일성 주석 사후 전면에 나타나는 데는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며 “권력이 안정될 때까지 중요 결정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해 북·미대화에 일정한 차질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대북 식량지원과 UEP 잠정 중단이라는 북·미 간 빅딜로 물꼬를 튼 뒤 북·미 3차회담을 거쳐 내년 봄 6자회담 재개로 이어지는 일련의 북·미 관계개선 프로세스는 일단 불투명하게 됐다.
김정은이 권력 승계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 하더라도 그가 지금의 북·미관계 흐름을 그대로 이어갈지도 미지수다. 새로운 리더십이 또 다른 형태의 대미 외교를 지향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은 김 위원장의 사망 사실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소식통은 “미국도 김정일의 사망 소식을 몰랐던 것 같다”고 말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