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박근혜 “정파초월 초당적 협력” 주문… 민주당, ‘조문’ 인도주의적 자세 촉구

입력 2011-12-20 01:25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에 여의도 정치권이 발칵 뒤집혔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비상대책위원장 취임, 민주통합당 당권 도전 인사들의 출마 선언 등 굵직한 정치 현안이 김 위원장 사망 소식에 묻힌 분위기였다.

한나라당은 19일 오후 국회에서 박 비대위원장 주재로 주요 당직자와 관계 상임위원회 위원장 및 간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김 위원장 사망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두아 원내대변인은 회의 결과 브리핑을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조하는 협의체제를 구축하는 데 만전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동맹국들과 협조해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관리될 수 있도록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위기상황에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혼란에 빠지지 않게 하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앞서 박 비대위원장은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전국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비대위원장에 선출된 후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 정파를 초월한 초당적 협력을 주문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수락연설에서 “(김 위원장 사망 보도에) 놀라고 걱정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그동안 정부에서 많은 대비를 해왔기 때문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이런 때일수록 모든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0.1%의 가능성까지 대비할 수 있는 물샐 틈 없는 대책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비대위 구성과 관련, “우리 사회의 상식을 대변하는 분들, 진정성을 갖고 국민을 위해 일할 분들을 삼고초려해서라도 모셔오겠다”고 밝혔다.

비대위가 김 위원장 사망에 대한 조의 표명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일부 의원은 개별적으로 조의를 표하기도 했다. 권영세 의원은 트위터에 “김 위원장의 급작스런 사망에 대해 천안함 폭침 사건, 연평도 포격 등 만행과는 별개로 조의를 표한다”는 글을 올렸다. 원희룡 의원은 트위터에 “조의 표명 등을 지혜롭게 대처한다면 남북관계 경색 국면을 완화하고 통일의 초석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건의했다.

민주통합당은 오후 1시 비공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김 위원장 급서에 조의를 표한다. 안정과 평화를 지키기 위해 초당적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는 입장을 내놨다.

민주당은 조의 표명과 조문사절단 파견 문제에 인도주의적 자세를 촉구했다. 정동영 전 최고위원은 “대만 정부는 마오쩌둥 사망 때도 조문단을 보내고 미국 클린턴 대통령은 김일성 주석 사망 때 조전을 보냈다. 이것이 외교”라고 강조했다.

당권 주자들도 일제히 조문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했다. 한명숙 민주당 상임고문은 “정부가 조의 문제에 인도주의적 모습을 가질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인영 전 최고위원도 “조문단 파견을 검토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해찬 전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20일 오전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노무현재단도 같은 날 오전 10시 노무현 정부의 통일외교안보 라인들을 참석시킨 가운데 긴급 간담회를 연다.

민주당은 한껏 고조되던 새 지도부 선출 열기가 김 위원장 사망 소식으로 인해 가라앉을까 속앓이를 하고 있다. 앞서 한 상임고문은 오전 11시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당대표 도전 기자회견을 가졌다. 자리를 옮겨 기자들과 식사를 하던 중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을 접하고 서둘러 자리를 떴다. 낮 12시30분 서울 정동 대한문 앞에서 당대표 도전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던 문성근 국민의명령 대표는 회견 직전 소식을 듣고 취소 여부를 고민하다 강행했다.

한편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주도하는 선진통일당(가칭) 준비모임도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 차원의 조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장희 김원철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