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시설 현대화에 10년간 10조원 투입
입력 2011-12-16 18:11
정부가 농업시설 현대화를 위해 내년부터 10년간 1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6일 경기도 안양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2012년 업무계획’을 보고한 자리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외국 시장 개척의 기회로 삼고 수출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현재 연간 2450억원인 농·어업 시설 현대화 지원액을 내년부터 10년간 연평균 1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소액 보조금 지급 비중을 줄이고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융자 비중을 늘려 지원대상과 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성장 가능성이 높고 농어가 소득효과가 큰 인삼, 파프리카, 굴, 막걸리 등 25개 전략품목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올해 76억 달러 수준인 농식품 수출액을 100억 달러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 농수산물유통공사 등과 함께 전략품목별 수출촉진단을 구성해 이들 전략품목의 생산에서 수출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또 2021년까지 4911억원을 들여 수출용 종자 20개를 개발하는 ‘황금씨앗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물가 안정과 유통구조 개선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내년 3월 농협중앙회가 1중앙회-2지주회사(농협경제지주와 금융지주) 체제로 전환되면 경제지주를 전국단위 판매조직으로 개편해 유통과 마케팅을 맡길 예정이다. 농민은 농산품 생산에만 주력할 수 있도록 농협의 경제사업 조직을 조합 지원에서 판매 중심으로 돌리겠다는 의미다. 농협과 사업구조 개편을 위한 이행약정을 체결하고 경제사업평가협의회를 설립해 이행 여부도 꼼꼼히 따져보기로 했다. 정부는 농어업인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농고와 농대에 전문 교과과정을 마련하고 창업 지원을 통해 매년 2500명의 젊은 농어업인도 양성키로 했다. 아울러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됨에 따라 귀농·귀촌 안내를 위한 전문상담사 120명을 양성하고, 농어촌 마을 공동 경영체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