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근혜의 쇄신, 신뢰회복과 소통에 초점 둬야

입력 2011-12-15 17:34

한나라당 상임 전국위원회가 어제 박근혜 전 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고 비대위 인선 등과 관련된 당헌 개정안을 의결해 19일 열리는 전국위원회로 넘겼다. 이로써 박 전 대표는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집중적으로 제기돼온 당 쇄신 요구의 중심에 섰으며, 2004년 천막 당사 시절 이후 근 8년여 만에 다시 한나라당의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박 전 대표는 상임 전국위에 앞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국민 신뢰 회복에 초점을 맞출 것을 주문했다. 그는 쇄신과 관련해 어떤 형식상의 변화도 국민들로부터 진정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무의미하다면서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전날 쇄신파 의원들과의 면담에서는 재창당을 뛰어넘는 혁신을 하겠다고 밝혔다. 총선 공천과 관련해서는 몇몇이 공천권을 갖는 것은 구시대적 방식이라고 못 박고 외부인사 영입에 적극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쇄신의 방향과 수준을 놓고 당내 일각에 아직 논란이 남아있지만 박 전 대표의 등장으로 여당은 일단 쇄신을 향해 힘을 모으는 모양새를 갖췄다.

한나라당뿐 아니라 정치권이 국민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서는 박 전 대표의 진단처럼 국민에 초점을 맞추는 기본자세를 확립해야 한다. 총선 공천은 나랏일을 대신할 인물들을 유권자 앞에 추천하는 일인 만큼 계파 이익보다 국민의 이익을 고려해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 의원들도 더 나은 국민적 인재가 있다면 자리를 내줄 각오를 해야 한다. 정책이 현재와 미래의 국민 이익과 국가 발전을 목표로 재정립 돼야 함은 당연하다.

강도 높은 쇄신은 국민적 요구다. 비위에 연루된 정치인들이 발붙일 수 없는 토양을 만들어야 하며, 가진 계층이 도덕적 의무를 자발적으로 실천하며 서민들을 보듬어 안는 정치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당명을 바꾸고 당헌과 강령을 손질하는 정도가 아니라 당 운영과 인선, 의사결정 과정 자체를 민주화해야 한다. 이런 목표는 소통을 통해 달성돼야 한다. 국민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도록 필요하고도 충분한 소통을 해야 하며, 이해가 엇갈리는 다른 정치세력과의 소통 능력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