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선 “불출마”… 야권도 ‘총선 물갈이’ 격랑 속으로

입력 2011-12-12 18:35


민주당 3선 의원인 정장선(51·경기 평택을) 사무총장이 12일 내년 총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한나라당 이상득, 홍정욱 의원에 이어 수도권 출신 야당 중진 의원이 불출마키로 함에 따라 4·11 총선을 앞두고 여야를 초월한 불출마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지 주목된다.

정 총장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해 4대강 사업 예산으로 국회가 난장판이 됐을 때 몸싸움이 생기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에 최선을 다해보고 그래도 또 생기면 차기 총선에 불출마하겠다고 다짐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도 결국 단독처리에 최루탄까지 터졌다”며 “3선이나 했는데 아무런 역할도 못했다”며 울먹였다. 정 총장이 정치권 구태를 거론하며 불출마키로 하면서 기성 정치인들과 정당문화에 대한 불신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야권발(發) 물갈이 바람도 아주 거셀 전망이다.

◇민주당 수도권도 물갈이 예외 아니다=민주당은 내년 총선에서 야권의 압승이 예상돼 온 상황에서 ‘공천이 보장된’ 인사로 꼽혀온 정 총장이 불출마 선언한 데 크게 한 방 먹은 모습이다.

민주당은 지난 8월 4선의 천정배(57·경기 안산단원갑) 최고위원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하느라 19대 총선에 나가지 않겠다고 밝힌 게 유일한 불출마 선언이었다. 또 일부 호남권 인사들이 수도권에 출마할 뜻을 밝힌 적이 있지만 당내 여론은 오히려 이들이 물갈이를 피하려고 꼼수를 부리는 걸로 여기고 있다.

따라서 정 총장의 이번 ‘공천 자진반납’이 물갈이 대상자들에게 상당한 무언(無言)의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무엇보다 서울, 경기 및 충청권이 결코 ‘물갈이 안전지대’가 아님을 예고했다는 것이다. 고위 당직자는 “초선 중에도 활동을 제대로 하지 않은 의원이 많고 수도권 의원 가운데서도 구악(舊惡)스러운 사람도 있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 야권통합 신당이 공직 후보를 100% 국민참여 경선으로 선출키로 해 인위적 물갈이가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민주당 박선숙 전략홍보본부장은 “요즘 유권자들 판단은 예전 같지 않다”며 “100% 국민참여 경선은 오히려 시대적 요구를 더 잘 반영하고, 정당 공천 때보다도 더 잘 걸러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통합 결의 후유증 지속=이처럼 변혁의 바람이 정치권을 엄습하고 있는데도 민주당은 여전히 야권 통합을 둘러싼 당내 갈등을 수습하지 못하고 있다. 전날 전당대회에서 통합이 결의됐음에도 불구하고 통합반대파들이 법적 소송을 준비 중이기 때문이다. 반대파를 대변하는 이현주 대구 북구갑 지역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내 민주적 절차가 얼마나 중요한지 소송을 통해 각인시켜주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통합 결의를 기정사실화하면서 더욱 남은 절차를 진행하는 데 박차를 가할 뜻을 밝혔다.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통합을 베고 누워 죽는 심정으로 완수하겠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최인기 통합수임위원장도 “18일까지 수임기관 차원의 합당 결의를 끝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반대파인 박지원 의원은 태도가 누그러져 페이스북에 “전대가 법적 다툼 소지가 있는 게 사실이지만 다 끝났으니 이제 하나가 되자. 소송도 하지 말아 달라고 부탁드린다”는 글을 썼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